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루바지
꽃가루받이
수분
d라이브러리
"
가루받이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쉬는 밤에 이뤄진다. 벌이 다 돌아왔다고 생각되면 트럭에 싣고 달린다. 농작물의 꽃
가루받이
를 주목적으로 하는 미국은 전문 양봉업자들이 직접 농장을 찾아 다니기 때문에 이런 이동식 양봉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도 약 절반이 이동식이다. 동양 꿀벌은 재래식으로 키우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고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금어초 꽃은 좌우대칭이 됐다. 환경에 맞게 유전자도 변화해 온 것이다. 따라서 꽃
가루받이
곤충이 바뀌는 등 환경이 변하면, 이 두 유전자가 다시 없어지면서 금어초는 도로 완전한 방사대칭 식물이 될 수도 있다.음, 훌륭하군.”요정 여왕님은 요정들의 대칭 마법에 걸린 꽃을 하나하나 흐뭇하게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으로 평가됐다.두 번째로는 유전자 확산 문제다. GMO가 비(非)GMO 사이로 들어가면 수분(
가루받이
)을 통해 GMO 유전자를 계속 생산해낸다는 것이다. 처음 GMO가 등장했을 때 작물회사들은 GMO 재배지 근처에 보호막을 세웠다. 그러나 20년이 흐른 지금에는 유전자오염이 되지 않은 땅이 없기 때문에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8년간 진행한 따개비 연구 역시 전적으로 그의 서재에서 이뤄졌다. 또 식물의 형태와
가루받이
에 관한 연구 역시 대부분 집안과 주변 산책로에서 관찰한 결과였으며, 그의 마지막 책의 내용인 지렁이와 흙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역시 집 정원과 주변의 밭 그리고 산책로에서 행해졌다. 다윈은 1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만들어질 수 있을까? 특정 조류에 의해서만 씨를 퍼뜨릴 수 있으며 특정 곤충을 통해서만
가루받이
가 되는 겨우살이의 구조가 외부환경이나 그 식물의 ‘의지’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을까?따라서 다윈은 ‘종의 기원’ 처음 네 장(章)에서 우선 자연선택이 강력한 적응진화의 메커니즘으로서 오랜 ... ...
꽃
가루받이
의주인공, 암술과 수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머리에 붙어 있는 꽃가루가 암술의 머리에 달라붙는 과정을 꽃
가루받이
라고 해요. 꽃
가루받이
가 끝나면 비로소 씨가 자라기 시작하지요.꽃에는 보통 하나의 암술과 여러 개의 수술이 있지만 꽃에 따라 여러 개의 암술이 있기도 해요. 또 암술은 수술보다 키가 크고 굵어요. 그래야 곤충들이 다른 ... ...
꽃가루 우체부, 꿀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것이 많이 필요하거든요.나무가 열매를 맺으려면 먼저 꽃
가루받이
가 이루어져야 해요. 꽃
가루받이
는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로 옮겨지는 것을 말하지요. 이 중요한 일을 하는 곤충이 바로 꿀벌이에요. 꿀벌이 꿀을 따려고 이 꽃 저꽃 옮겨 다니는 동안 꽃가루가 꿀벌의 몸에 달라붙어 옮겨지거든요.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필요하다.향기의 왕은 뭐니뭐니해도 꽃. 식물이 꽃향기를 내는 속셈은 곤충을 불러들여
가루받이
를 하기 위해서다. 식물이 향기를 내듯 동물도 다양한 목적으로 향기 나는‘페로몬’을 내뿜는다. 페로몬은 흥분을 운반한다는 뜻의‘페레인’에서 나온 말이다. 이 물질은 동물이 몸에서 만드는 화학 ... ...
차가운 겨울 녹이는 동백꽃과 동박새의 우정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흥건히 젖어 있다.동박새가 동백꽃에 들어있는 꿀을 빨아 먹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꽃
가루받이
가 이뤄진다. 동백꽃의 입장에서 보면 꿀을 주고 사랑을 얻는 셈인데 꿀과 사랑 모두 달콤하기 이를 데 없으니 누가 이익이고 누가 손해인지 따지기 힘들다. 그저 동백나무가 겨울에도 줏대 있게 꽃을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그 과정에서 난초의 꽃가루는 벌의 몸에 묻고, 그 벌이 다른 꽃으로 날아갔을 때 꽃
가루받이
가 이뤄져요. 결국 난초는 수벌을 완벽하게 속이고 번식에도 성공한 셈이지요. 힘들여 꿀을 만드는 대신 모양만 살짝 바꿨을 뿐인데 말이에요.영국에서 발견된 파리의 경우, 수컷이 암컷에게 죽은 곤충 같은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