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ry
gerry
d라이브러리
"
게리
"(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구부러진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는 지금 도시 한가운데 서 있다. 하늘 위로 쭉쭉 뻗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일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상이 구부러져 보인다. 모든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모양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구부러짐을 이용하는 건축가도 있다. 미국의 프랭크
게리
와 스페인의 안토니 가우디, 영국의 자하 하디드 등이 대표적이다.곡선으로 채운 신소재선을 잘 연결하면 면을 만들 수 있다. 사각형 안에 선을 가득 채워 넣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아이디어는 1890년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위쪽 건물의 윤곽을 따라 그려진 ‘선’은 무슨 선일까? 곧은 선분으로 이뤄져 있지만, 중간중간 꺾여 있으니 직선이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직선은 곧게 끝없이 이어진 선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곡선이라고 하는 것도 이상해 보인다. 우리는 아래 보이는 굽어진 도로처럼 부드럽게 굽어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이퀴프먼트 사’의 마케터였던
게리
터크가 보낸 새 컴퓨터 판촉행사 안내 메일이었다.
게리
터크가 ‘아르파넷’이라는 전산망을 이용해 보낸 스팸메일은 약 400통 정도였다. 이후 봇넷이 스팸메일을 보내는 데 쓰이기 시작했고, 웜이 개발되면서 더욱 많은 컴퓨터를 조종하는 봇넷이 생겨났다.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가장 짧은 길이의 선을 구하는 문제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중간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때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은 어떤 모양일지 구하는 문제가 그 예다. 답은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듯이 곧은 선이다.최단 거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게임이론에서 공헌을 남겼습니다. 수학자 데이비드 게일와 함께 비협조적 게임에서의 ‘
게리
-섀플리 알고리즘’을 만들어낸 것이지요.‘게일-섀플리 알고리즘’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애정촌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애정촌에 남녀 네 명이 모였어요. 인기 있는 남자 1호, 평범한 남자 2호, 인기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싸우느라 정신없었고 학회장은 연일 소란스러웠다.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과
게리
기번스는 웨버의 논문에서 오류를 발견했다. 웨버의 계산대로라면 우리은하는 중력파 방출로 엄청난 에너지를 잃어 아예 존재할 수 없었다. 더구나 웨버가 만든 상온 바 검출기는 여러 중력파 신호를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러던 중 우연히 TV에서 IBM의 체스 컴퓨터 ‘딥블루(DeepBlue)’가 전설적인 체스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이기는 장면을 보게 됐다. 1997년이었다. 언젠가는 IBM에서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데 참여하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갖고 전자공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그리고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7년에 뉴욕의 ... ...
[화보]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모래 알갱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맨 눈으로는 쉽게 볼 수 없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더 많은 사진은
게리
그린버그의의 홈페이지(sandgrains.com)에서 볼 수 있어요.반짝반짝 아름다운 모래 속에는사각사각 보드라우면서도 까칠한 모래는 아주 작은 알갱이들의 모임이에요. 산의 거대한 바위나 강의 돌멩이들이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적용한 유진을 진정한 인공지능으로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미국 뉴욕대 인지과학자
게리
마스쿠스는 “현재의 인공지능 수준으로 봤을 때 30% 이상이라는 기준은 상당히 낮은 편”이라고 말하며, “통과기준을 현재 수준에 맞게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MIT의 인지과학자 조수아 테넌바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