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격
구축
반발
d라이브러리
"
격퇴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잠수함만 전문으로 격침시키는 대잠 구축함도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개의 표적을 동시에
격퇴
시킬 수 있는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하면서 배수량이 약 9천-1만t으로 증가했다. 특히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한 이지스 구축함은 최대 속도가 35-40노트로서 공대공 미사일, 대함 미사일, 단거리 미사일,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일화도 이런 예에 속한다. 적벽에서 오군과 촉군은 위나라 조조군을 화공으로
격퇴
하고자 했으나 조조의 군대 쪽으로 불길을 몰아줄 강력한 동남풍이 없었다. 공명이 길일을 잡아 남병산에 칠성단을 쌓아놓고 주문을 외우자 바라던 동남풍이 불기 시작하고 잠깐 사이에 바람은 더욱 거세졌다.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기계인 나노(10-9) 크기 로봇의 현실화는 현재 인류가 앓고 있는 상당수 중병을 일거에
격퇴
할 수 있는 길을 연다. 즉 이들을 대기중에 뿌려놓으면 이산화탄소를 먹고 산소와 탄소를 배출함으로써 온실효과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감기 바이러스나 암세포를 잡아먹고 스스로는 산화하는 분자기구로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얀 소비에스키가 적은 수의 중유럽 동맹군을 이끌고 빈 포위망을 뚫어 이슬람군을
격퇴
시킨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유럽에서 이슬람의 진군은 영원히 봉쇄됐다. 기독교국가들은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690년 하늘에 찬란한 십자가가 새겨진 소비에스키의 방패를 걸었다. 이것이 폴란드 천문학자인 ... ...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다시 말해서 남자들이 정자 경쟁의 적신호를 눈치챘을 때에는 물량작전으로 경쟁자를
격퇴
하기 위해 성교 동안에 정자의 수를 조절하여 사정하는 놀라운 능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베이커와 벨리스는 정재 경쟁이론으로 수음행위가 함축한 생물학적 의미의 설명을 시도했다. 남자의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 적군들이 환부(점령지)를 만들면 이를 치료(
격퇴
)하기 위해 우리는 세균을 죽이는 다른 치료법을 쓸 수밖에 없다.만일 장기 조직이 암에 걸려 회복될 수 없게 됐다면 일단 떠올릴 수 있는 대책은 그 장기를 들어내고 인공장기를 이식하는 일일 것이다. 대대적인 ... ...
3. 개인용로봇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나오는 해안경비로봇인 놋쇠 인간 탈로스는 뜨겁게 달구어진 몸으로 섬을 침입한 적을
격퇴
시키고 있다. 이들 이야기는 비록 신화에 불과하지만 힘든 일을 대신해주는 ‘기계 인간’에 대한 인간의 염원이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근대적인 개념의 로봇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참으로 기상천외한 발상이다. 인류가 당면한 최대의 고민인 온실효과를 일거에
격퇴
해버린 것이다.바이러스를 잡아먹고 스스로 분해해버리는 스프레이 감기약도 선보였다. 코와 목에 이 약을 뿌리면 3시간만에 바이러스를 잡아먹고 6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에 분해되는 분자기구이다. 암세포도 ... ...
동물들의 치열한 정자 전쟁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정자가 다른 남성의 정자와 경쟁해야 하는 위험이 있다면 그는 정자수를 늘려 상대편을
격퇴
하려 할 것이다. 따라서 오직 하나의 정자만이 수정에 참여하는데도 수억마리의 정자가 생산되는 것이다.그렇다면 남성은 어떤 경우에 위험을 감지하는 것일까? 남녀가 함께 지낸 시간과 정자수의 관계를 ... ...
최무선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당시 조정에서는 왜구의 침입이 격증하기 시작하면서 왜구를
격퇴
시키기 위하여 중국으로부터 화약병기와 화약을 수입하여, 공민왕 5년(1356) 9월에는 총통을 남강에서 처음 발사시험 했다. 16년 뒤인 공민왕 21년(1372) 10월에는 화전을 발사시험 했으며, 1년뒤인 공민왕 22년(1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