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피
d라이브러리
"
경원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두만강 하구에 새 항구를 건설할 태세다. 남한과 북한을 잇는 경의선이 개통되고
경원
선이 연장되면서 북한의 라진, 선봉을 거쳐 두만강 하구를 통해 러시아 연해주까지 철도가 연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녹둔도가 조선의 개척정신을 상징하듯 이 지역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개척도 계속해야 할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기억에서 점차 잊혀진다.과학기술부에서 진행하는 ‘과거 신동 추적 연구’의 책임자인
경원
대 김명환 교수는 “그동안 매스컴에 영재로 노출된 30~40명의 사람들과 인터뷰를 시도했으나 대부분 실패에 그쳤다”며 “그들은 한결같이 영재성이 세상에 드러난 뒤에도 제대로 된 교육을 지원받지 못한 ... ...
너는 발명해라 나는 논문쓸테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가지다. 발명이란 거창하고 어려운 것만은 아니구나. 다들 고개를 끄덕인다.최연규(서울
경원
중 2년) 군은 양말에서 발가락이 닿는 부분에 스펀지 패드를 덧대 발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인다는 실용신안을 냈다. 손혜령(경기 발산중 1년)양은 건조대에서 빨래를 하나씩 걷느니 건조대에서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더욱 커질 전망이다.영화 장면 같은 치열한 공방올해 KYPT는 조직위원장 박찬웅 교수(
경원
대)와 심사위원장 권숙일 교수(전 과기부장관, 서울대 명예교수)의 지휘 아래 진행됐다. 총 8팀이 참가했기 때문에 4팀씩 두개조로 나눠 3회의 예선전을 실시했고, 상위 4개팀이 결승전을 치뤘다. 각 팀은 팀장을 ... ...
제16회 국제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대해서 직접 실험하고 탐구한 결과를 정리해 대회에 참가했다. 조직위원장인 박찬웅
경원
대 교수가 단장이었고, 정병훈 청주교대 교수와 권명회 인천대 교수가 독립심사위원으로 참가했다.IYPT는 예선 5라운드와 예선 결과 종합순위 3위 이상만 겨루는 본선으로 나눠 진행된다. 매 라운드마다 서로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터널 안을 밝히기 위한 중요한 등불이지만 때로는 이 등불이 운전을 방해할 수 있다.
경원
전문대 박형주 교수(소방시스템과)는 “터널 안에 설치된 조명을 계속 보다보면 눈이 착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가까이 있는 차를 멀리 있는 것처럼 느끼기 쉬워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 ...
주인 알아보는 똑똑한 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업체들도 이에 뒤질세라 발벗고 나섰다. 세넥스테크놀로지는 최근 동방그린종합건설,
경원
코퍼레이션 등 고급 빌라를 짓는 건설업체들과 계약을 맺고 자사의 홍채인식 시스템인 ‘트루아이’를 가구별 출입문 통제장치로 공급키로 했다. 이 장치가 출입문에 달려있으면 눈으로 아파트 문을 여는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링에 공을 집어넣는 농구는 ‘높이의 경기’ 다.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던 방열 교수(
경원
대)는 “현대의 농구 경기는 백보드를 제압하는 팀이 승리한다” 고 단언한 바 있다. 이 말은 농구에서 제공권을 장악하는 것이 경기 내용과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혼돈운동은 민감하고 제어에 대해 매우 빠르게 작용한다. 또 복잡한 구조 안에 무한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응용의 잠재성이 뛰어나다.혼돈이론은 자연의 복잡성을 다루는 과학이다. 우리는 주위에서 그 양상이 매우 복잡해서 불규칙적이고 예측불가능해 보이는 현상들을 흔히 관찰할 수 있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움직임도 활발하다. 가전제품에는 팬히터 등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경원
대 물리학과 국형태교수는 "혼돈이론은 이제 태동단계다. 아직 다양한 비선형 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체계가 정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한 고속계산과 새로운 수학이론 등을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