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급개념"(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기계공학전공을 한국 창의공학의 중심으로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는 기계공학전공과 항공우주공학전공을 합쳐서 하나의 학부로 운영하고 있지만, 신입생은 전공별로 각각 모집한다. 현재 기계공학전공주임을 맡고 있는 박종우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초에 충실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서서히 색과 무늬가 변하는 ‘풀 메탈 바디’ 휴대전화, 필터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정수기, 스스로 흠집을 치유하는 자동차, 펌프와 냉매 없이 스스로 냉동하는 냉장고. 무슨 소설 같은 얘기인가 싶겠지만, 실제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공통점은 바로 금속. 소비자가 꿈꾸는 제품의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아이디어 싸움에서 이기는 법은?게임이라고 다 재미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한 게임이라도 아이디어가 참신하고, 스토리가 탄탄해야 플레이어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지요. 재미는 보통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 결정돼요. 게임 디자인은 어떤 게임을 만들지 기획하는 일로, 게임의 모양새와 규칙, 스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치부 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나는 소위 ‘정보맨’들의 모임에 참석한 적이 몇 번 있었다. 자기들끼리 네트워크가 있는 국회의원 보좌관, 국정원 IO(국내 정보관), 중수부 수사관, 정보과 형사, 월간지 기자, 대기업의 홍보 담당자 등이 삼삼오오 모여 소문도 전해 듣고 ‘찌라시’도 돌려보고 인물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학 시절, 친구가 당시 유행하던 ‘SNS’에 이상한 방을 개설했다. ‘혼자 밥 먹는 사람들’. 책 하나 끼고 혼자 밥 먹길 즐겼던 나는 ‘남우세스럽게 모임까지 만든담’하고 부담스러워했다. 초청을 받아 들어가긴 했는데, 아니나다를까. 회원들은 중2병 못지 않은 대2병 대결을 펼치며 자의식 과잉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만약 조선시대에 수학 시간이 있었다면 이런 풍경이지 않았을까. 서당에서 수학을 가르치진 않았지만, 조선시대에도 고차 방정식을 포함해 어려운 수학 공부를 했다. 김영욱 고려대 수학과 교수팀은 지난 4월, 지금까지 번역된 산학서(지금의 수학책)를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조선시대 과거 시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늘은 모든 화성 탐사 대원에 대한 하우스 박사의 정기 건강검진이 있는 날이다. 내 차례가 오길 기다리다, 화성에 오는 도중 우주 공간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신체의 변화가 생각났다. 견디기 쉽지만은 않았던 그 순간의 당혹스러움과,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했던 하우스 박사의 놀라운 의술도.정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 편집자 주_이번 호부터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연재를 시작합니다. 사람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재미있게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새해를 맞이하여 다들 많은 다짐을 했을 것이다. 이번만큼은 반드시 해내겠 ...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벽지는 단순한 종이가 아니다. 종이 위에 다양한 색지를 입히거나 아름답고 화려한 무늬로 디자인하기도 한다. 색이나 무늬에 따라서 때로는 무거운 마음을 가볍게 해주고 춥고 썰렁한 공간을 따뜻한 느낌이 나게 만든다. 최근에는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는 실크 벽지가 주를 이룬다. 그런데 아이러 ... ...
-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제 기말고사 공부와 함께 2학기를 마무리하면서 너덜너덜해진 책을 정리할 때가 왔습니다. 겨울방학은 여름방학보다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분야를 더 깊게 공부하거나 내년에 배울 책을 먼저 보는 시기입니다. 이때 학생들에게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것은 바로 ‘책’입니다. 그런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