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 책상 위 상상의 세계, 보드게임 작가 김건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따라 즐기는 게임이에요. 보드게임이 몇 개나 있냐는 질문에 김건희 작가는 “다른 작업
공간
에 보드게임이 더 있다”며 “정확히 세진 않았지만 3000개가 조금 안 될 것”이라고 답했어요. 더 놀라운 사실은 김건희 작가가 이곳에 있는 게임을 대부분 한 번 이상 해 봤다는 점입니다. 김 작가는 ...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쌀이 아주 좋은 지지체가 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쌀알에는 작은 구멍이 많아 세포가 자랄
공간
이 많고 쌀 자체에 영양분이 들어 있어 따로 영양분을 넣어주지 않아도 되거든요. 문제는 동물 세포가 붙을 때 필요한 물질이 쌀알에 없다는 것이었어요. 동물 세포는 다른 세포랑 붙을 때 아민기라는 ... ...
멋진 자동차를 그리는 방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이지현 디자이너와 여러 디자이너가 힘을 합쳐 디자인한 자동차는 지금도 도로 위를 열심히 달리고 있어요.자동차 연구원을 꿈꾸는 김명준 어린이 기자가 이지현 디자이너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봤어요. 자동차 디자이너는 어떤 일을 하나요? 자동차의 대부분은 철로 만들지요. 자동차 디자이 ... ...
놀이터에서 뭐 하고 놀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남는다”고 떠올렸어요. 이어 “놀이터는 즐거움뿐 아니라 다양한 감정을 담을 수 있는
공간
이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놀이터는 어디에 많을까요? 올해 2월 기준 우리나라 어린이 놀이시설 8만 1823곳 중 4만 3418곳, 53%가 아파트 단지 등 주택단지에 있습니다. 일정 규모 이상인 아파트에는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새 학년, 새 학기 온라인에서도 함께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새 학급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기 위한 학급 규칙을 만드는 것처럼 미디어와 온라인
공간
에서의 규칙을 만들면 즐거운 학교생활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선생님이 정한 규칙을 따르는 것도 좋지만, 친구들과 다 같이 생각해 보고 만든 규칙은 더욱 보람이 있을 거예요. 지난해 선생님 반에서 만든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내가 그린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면?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슝슝~! 멋진 자동차가 탄생하려면 많은 과정이 필요해요. 그중에서도 중요한 건 바로 자동차의 모습을 결정 짓는 ‘자동차 디자인’이지요. 어린이 기자가 자동차 디자이너를 만나 자동차 디자인의 비법을 물어봤어요. 김명준(8) 어린이 기자가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 ...
그림 속 자동차를 현실로 만드는 수학!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자동차 디자인에도 수학이 꼭 필요해요. 이지현 디자이너는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의 특징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라고 말했어요. ...
좋은 놀이터의 조건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조합한 형태가 많습니다. 배 원장은 “어린이들은 놀이기구 바깥의 주변 환경까지 놀이
공간
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이며 “정형적인 놀이기구 외에 둔턱, 나무, 모래가 있는 놀이터처럼 자유롭게 상상하며 즐길 수 있는 요소도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특히 배 원장은 놀이터에 ‘건강한 위험’이 ... ...
세상에 단 하나 뿐인 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노는 시간은 낭비하는 시간이 아니라 꿈을 꾸는 시간이에요. 여러분이 놀 수 있는
공간
을 저희가 열심히 만들 테니, 적극적으로 놀이를 즐겨주세요. 그리고 저희에게 이야기를 많이 해줄수록 더 알맞은 놀이터를 만들 수 있답니다. 그러니 세상을 향해 원하는 것을 자신 있게 이야기하는 어린이가 ... ...
[기획] 풍선껌 알고 불면 더 커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어요. 껌을 씹으면 당류와 향료가 그물 사이에서 빠져나와요. 그물 구조 사이에 빈
공간
이 생기면서 껌의 조직이 흐물해지죠. 껌베이스 분자만 남은 껌은 씹어서 압력을 가하면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져요. 롯데중앙연구소 우상민 연구원은 “껌을 씹고 약 3~5분 뒤 단맛이 모두 빠졌을 때 풍선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