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귀"(으)로 총 1,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알려줄게. 사람처럼 행동하도록 돕는 센서와 회로 사람은 눈으로 사물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들으며 장애물을 인지한 후, 뇌에서 회피하라는 명령을 통해 몸을 움직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또한 비슷한 과정으로 장애물을 피해 요리조리 길을 찾아갑니다. 우선 로봇의 외부에 달린 여러 장치가 마치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투어를 마치고 독자들은 벅찬 표정을 지었다. 노푸름 독자는 “지하 1000m로 내려가니 귀가 먹먹하고 숨이 답답한 신체적 증상들이 있었는데, 그런 환경에서 연구를 진행하시는 연구자분들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신재호 독자(경기 평촌중 3)는 “아직 양양 지하연구실에서 가져오지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비행기 주변으로 고압과 저압이 반복되는 파동인 ‘압력파’를 만들어내고, 이 진동이 귀에 들어오면 소리로 인식하게 된다. 만약 비행기가 음속보다 빠르게 날면, 압력파가 비행기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하고 비행기 전면에 쌓인다. 이렇게 쌓인 압력파가 거대한 ‘충격파면’을 만들게 된다. ... ...
- [특별기획] 펄사의 짝별 미스터리 천체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향한 가장 큰 귀를 만드는 ‘SKA(Square Kilometer Array)’ 프로젝트. 약 40년에 걸쳐 준비 중인 프로젝트가 공식 출범도 하기 전에 첫 성과를 냈다. 우리은하내 펄사 곁을 도는 미스터리 천체를 발견한 것이다. 펄사와 쌍성을 이루고 있는 동반성(짝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미스터리 천체를 추적하는 과정과,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가 시도됐습니다. 첫 번째는 누군가의 흔적을 찾기 위해 전파에 귀 기울이는 방법,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입니다. 최초의 SETI 프로젝트는 프랭크 드레이크 당시 미국 코넬대 천문학과 교수의 ‘오즈마 프로젝트’로 1960년에 시행됐죠. 드레이크 교수는 약 4개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낯선 학생이 활짝 웃었다. 입술 사이에서 존재감을 드러낸 뾰족한 송곳니가 제법 귀여워 보였다. 낯선 학생이 씩씩한 목소리로 말했다.“우리 우나 쌤 대화를 공유하자.”“어뭐”“우나 쌤 대화 공유.”“그게뭐야”선의 반응에 낯선 학생은 신기하다는 듯 말했다.“아, 대화 공유 몰라? 음,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음악은 내가 잘 알지요. 잠깐 눈을 붙여도 좋아요. 도착할 즈음 깨워줄 테니.”선의 양쪽 귀에 꽂힌 이어폰에서 은은한 하프시코드 선율이 흘러나왔다. 선은 1000년도 넘은 먼 옛날에 녹음됐다는 하프시코드 협주곡들을 좋아했다. 하프시코드라는 악기가 쓰이던 시기의 음악은 동일한 패턴의 리듬이 ... ...
- [출동, 슈퍼M] 귀에 쏙쏙 들어오는 노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아래 동요를 불러 보세요! 박자뿐만 아니라 노랫말에도 규칙이 숨어 있어요. 노래를 귀에 쏙쏙 들어오게 만드는 규칙을 자세히 알아봐요! 한 번만 들어도 기억에 남는 이유는? 하나 , 같은 글자 수로!겨울 동요로 익숙한 ‘눈’의 노랫말이에요. 글자 수를 관찰해보면, /로 나뉘어 있는 마디마다 ... ...
- [잔소리상] 발가락 사이 잘 씻어야 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팔뚝과 종아리에서는 다양하고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이 발견됐어요. 반면 발가락이나 귀 뒤, 배꼽 등 피지나 습기가 많은 부위에서는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을 볼 수 있었지요. 크랜달 교수는 “이 마이크로바이옴이 많이 쌓이면 습진이나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그러면서 ... ...
- [마이보 의 과학 영상 읽어줌] 로봇은 어떻게 안넘어지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로봇이 갑작스러운 충격을 받아도 균형을 잘 잡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죠. 사람이 눈과 귀에서 오는 정보를 처리해 균형을 잡는 것처럼, 로봇은 센서로 힘의 방향, 크기, 기울기 등을 분석해 균형을 잡습니다. 과거에는 제대로 걷는 것조차 어려웠던 휴머노이드 로봇이 충격에도 끄떡없기까지, 어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