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업"(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메이드 인 스페이스, 약물 배달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만든다고 해도 지구로 가지고 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미국의 우주 제조 기술 기업 바르다 스페이스 인더스트리는 우주 약물 제조용 캡슐로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캡슐형 비행체 내에서 단백질 구조 등을 개발한 뒤, 지구로 비행체를 귀환시키는 거예요. 지난해 6월 바르다 스페이스 ... ...
- 잡았다! 가짜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있어요. 딥페이크 탐지 기술 역시 인공지능(AI)을 활용합니다. 2022년 미국의 반도체 기업 인텔은 탐지 AI ‘페이크캐처’를 공개했어요. 심장이 박동하며 혈액을 내보내면, 피부 색깔이 미묘하게 변합니다. 페이크캐처는 조작된 영상 속 사람 얼굴의 피부색 변화를 추적한 뒤 실제 영상과 비교해 가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네이버도 강원도 춘천의 찬바람을 적극 활용해 데이터센터의 열을 식히고 있어요. 미국 기업 유튜브는 데이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화질을 자동으로 낮추는 업데이트를 진행했지요. 많은 사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디지털 세상이 만드는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은 많이 부족해요. 우리가 ... ...
-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식물에 발광 생물의 유전자를 주입해 빛나는 식물을 처음으로 만든 거죠. 프랑스 기업 글로위는 균의 생물발광을 적용한 조명을 길거리에 설치하고 있습니다. 글로위는 2022년부터 도심 주변 강변에 은은한 푸른빛을 뿜어내는 원통형 튜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어요. 글로위의 생물발광 조명은 ... ...
- [기획] 풍선껌 크게 불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불기 챔피언십, 무려 100명이 대회에 참가해 대결을 펼쳤어요. 게임을 주최한 식품 제조 기업 롯데웰푸드는 “풍선껌 불기의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대회를 열었다”고 밝혔지요. 대회에서는 웃음을 참지 못해 호흡이 떨리면서 풍선을 시간 안에 불지 못한 참가자도 있었고, 풍선껌을 얼굴만 하게 ...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세계 첫 민간 달 착륙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항공우주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Intuitive Machines)가 개발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가 2월 15일(현지 시각) 지구를 출발해 일주일 뒤인 22일 달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오디세우스는 세계 최초로 달에 착륙한 민간 개발 착륙선이 됐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2월 26일 자사의 X(구 트위터) ...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4.1%, ‘더 킹’이 11.6%이었다. KT와 같은 기업들은 흥행 예측 모형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기업들은 영업 비밀이라며 상세한 원리를 알려주진 않지만, 기본적으로 오른쪽 페이지의 AI 모형 원리를 바탕으로 모형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거나 더 잘 설명하는 함수를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PM)를 첫 번째 여성인재로 영입했다. 구글코리아를 거쳐 미국 구글 본사까지, 글로벌 IT 기업에서 총 15년 넘게 근무한 IT 전문가는 당의 과학과기술특별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맡았다. 3월 7일 만난 이 위원장은 “구글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일과, 국회에서 법과 제도를 만드는 것은 똑 ... ...
-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몸이 방어할 수 있도록 면역 체계를 준비시키는 의약품을 말한다. 마침내 다국적 제약 기업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처음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했고, 2020년 12월부터 전 세계 사람들이 차례로 백신을 접종했다. 하지만 백신의 효능은 연령대는 물론 국가나 인종별로도 다르고, 그 물량도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핫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다보니 대학원생의 전공이 한국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동떨어져 있습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연구실이 몇 개 없는 것도 한 예죠. 그래서 기술 이전 실적, 창업 실적, 특허 실적 등을 평가 기준에 비중 있게 반영해 다각도로 연구를 평가해야 한다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