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공"(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칠레에 있는 바르샤바망원경과 칠레와 호주, 남아공에 있는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망원경으로 우리은하 중심부 원반 부근에서 나홀로 행성을 찾았어요. 이 행성의 질량은 지구의 3분의 1에 불과해요. 현재까지 발견된 나홀로 행성 중 가장 작지요.연구팀은 ‘중력 렌즈 ... ...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월드컵을 합산한 기록과 맞먹을 만큼 역대급으로 많습니다. 2006 독일 월드컵에선 4회,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선 2회,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선 5회였거든요. 바꿔 말하면 이는 그만큼 수비가 불안했던 팀들이 많았단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이번 월드컵에서 자책골을 넣은 팀 중 9팀이 해당 경기에서 패하며,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막상 경기에 써보니 공의 탄성력이 너무 강해 패스조차 제대로 하기 힘들었습니다.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선 총 145골이 터졌는데, 이는 32개국이 조별 예선을 치르기 시작한 1998년 월드컵 이후 최소 득점입니다.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선 171골이 나왔으니 얼마나 골 가뭄이 심했는지 알만하지요? 그렇다면 ... ...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망원경인 VLT를 이용해 2012 TC4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한국천문연구원도 호주, 칠레, 남아공에 설치된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인 ‘KMTNet’을 통해 2012 TC4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주의 비밀을 품은 보물 창고, 소행성이 온다!Part 1. 지구를 지나친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세포생물 중에 가장 깊은 지하에서 사는 애도 이 종류예요. 할리세팔로부스 메피스토. 남아공 금광의 지하 3.6 킬로미터 아래서 발견됐죠.”“아, 그래, 메피스토. 악마 이름이네. 잘 지었다, 야.”“그쵸? 발견한 사람들이 원래는 『네이처』지에 ‘지옥구더기’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내려고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낸 건 그래서였습니다.자기들이 뭐라고 남의 목숨을 가지고 이런 일을 벌였을까요? 남아공 탄광 지하에서 말예요. 제가 아는 기준 오빠는 이런 일에 동의했을 리 없다고 끝없이 의심하면서도, 그렇다고 기준 오빠를 깨워 다시 죽게 둘 수는 없었습니다.그러는 동안 비공식적인 프레젠테이션이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입증되면서 전세계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케냐, 페루, 남아공 등이 트루바다를 프렙 제제로 허가했다. 올해 8월 유럽연합(EU)도 장시간에 걸친 마라톤 회의 끝에 트루바다를 승인했다. 한국도 준비가 한창이다. 대한에이즈학회 프렙 지침 개발위원회는 WHO의 ... ...
- 종교 없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더 관대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진 데세티 교수팀은 캐나다, 중국, 요르단, 터키, 미국, 남아공 등 6개 나라에서 5~12세 어린이 1170명을 대상으로 이타심과 징벌의 관계에 대해 실험했다. 실험대상자의 23.9%(280명)는 기독교, 45%(510명)는 무슬림 가정에서 자랐으며, 27.6%(323명)는 종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랐다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동굴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의 최대 도시인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이다. 입구는 지금까지 세 개가 발견됐고, 내부는 미로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다. 1960년대부터 수많은 고인류학자가 이곳을 탐험해 화석을 발굴했을 뿐 아니라, 동굴 내부의 대략적인 지도를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도 되는 멀고 작은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특화돼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칠레, 호주, 남아공 세 곳에 관측시스템(KMT Net)을 설치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