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낭비"(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손실 없이 흘릴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는 “초전도 전선은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여 기후 위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019년 우리나라 한국전력은 경기도 흥덕 변전소와 신갈 변전소 사이 1km 구간에 초전도 케이블을 ... ...
-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응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않도록 양치를 꼭 해야 해. 그런데, 양치할 때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으면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게 돼. 수도꼭지에서는 1분에 12L의 물이 나오거든. 경환이가 양치를 22번 하는 동안 사용한 물의 양은 무려 792L야. 그럼 경환이가 한 번 양치할 때 사용한 물의 양은 얼마일까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례는 미국에서 수여되는 ‘황금 양털상’이었다. 황금 양털상은 미국 정부의 예산을 낭비한 사업에 수여되는 상이다. 그런데 이 상이 미국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한 연구들에 주어지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과학자들이 세금으로 엉뚱한 짓을 하고 있다고 여기게 만들었다. 결국 황금 양털상은 과학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도 있다는 겁니다. 칼 세이건이 “이렇게 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그것은 공간 낭비다”란 말을 했죠. 저도 여기에 동의합니다. 외계인은 있지만, 여러 이유로 아직 지구에 닿지 않았을 거란 가설도 세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가설을 지지하시나요? 외계인도 그들에게 ‘외계인’일 ...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원하지 않는다. 그런데 많은 것을 머릿속에 담으려고 하면 정리가 되지 않아 시간을 낭비할 때가 있었다. “대학원 시절에 여러 강연을 듣다가 흥미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 적이 있는데, 몇 개월 뒤에 그 아이디어가 아예 기억나지 않아서 정말 답답한 적이 있었어요. 그래서 블로그나 컴퓨터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발사는 그 발사 모습 자체가 멋있기 때문에 꿈을 부르기도 하지만, 달리 보면 ‘연료 낭비가 심한 것 아냐?’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더욱이 주로 화석 연료를 쓰기 때문에 발사 후 배출하는 여러 종류의 배기가스와 잔존 물질은 곧바로 지구 온난화나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말을 멈췄습니다. “그나저나 이 이야기를 기사로 쓰면 연구단 문 닫는 거 아니에요? 돈 낭비한다고?” 소보레브 연구원이 진담 반 섞인 농담을 건넸죠. 글쎄요, 기자가 만나본 과학자들과 이들은 전혀 다른 접근법을 갖고 있긴 합니다. 표준모형 검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복 등. ... ...
- [Biostatistician] 빌 게이츠도 주목한 생물통계학자, 질병과 빈곤의 사슬에 맞선 논할라 옌데-주마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종종 끼니를 굶었다. 게다가 사회적 분위기상 대부분 여성이 학교에 다니는 것을 시간 낭비라고 여겼다. “남자들이 숙제와 축구를 할 동안, 여자들은 청소를 하고, 물을 길어오고, 그릇을 씻었죠. 게다가 학교가 집에서 10km나 떨어져 있어 여자들은 공부를 쉽게 포기했어요.” 그때 빈곤에서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속의 뇌들과 핍의 뇌 모두 누군가에게 이용당했다는 점에서 다를 게 없어보였다.‘시간 낭비야.’핍은 데이터센터에서 나가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났다. 시간이 조금 걸리겠지만 산소용접기로 문을 자를 수 있을 듯했다. 알파는 이야기를 멈추지 않았다.“그러나 우리는 그곳에서 인간의 위대함을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순서대로 움직여 지면을 밀어내기까지 10년도 넘는 세월이 걸렸다. 누군가는 헛된 시간낭비로 여겼던 모양이지만 이 덕분에 1세대 안내로봇이 안정적인 이족보행을 비롯한 숱한 장애보조기술의 발전에 기여했음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초기 모델은 안정성 면에서도 앞선다. 출시한 지 15년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