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대자
d라이브러리
"
반대론자
"(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크로칩에 갇힌 전자파놉티콘의 죄수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개인정보가 공권력에 의해 무제한적으로 발가벗겨진다는, 전자 파놉티콘을 경계하는
반대론자
들의 걱정을 씻어내진 못한다. 바야흐로 국민 모두가 죄인 아닌 죄인이 돼 감옥 창살이 아닌 마이크로칩에 갖히는 상황이 오고 있는듯하다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대해서도 신뢰를 보이는 학자와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논쟁을 벌이고 있다.
반대론자
들은 기억을 회상하는 과정에서 그 기억이 원형을 잃고 왜곡되거나 변조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세계 최대의 최면학술단체인 미국임상최면학회에서 발간한 ‘최면과 기억의 관계에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호하자"라는 호킹의 유머처럼 시간여행이 실제로는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시간여행
반대론자
들은 보통 인과율을 대전제로 하여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거나 타임머신을 만들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인간의 욕구는 끝이 없어 이러한 문제들까지도 물리적인 탐구의 영역에 포함시키고 논란의 ... ...
1 안방 앉아서 네트워크 통해 원격수업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것이 좋은가 등 유아교육학자들 사이에 아직 논쟁이 계속되고 있기도 하다.컴퓨터교육
반대론자
들이 흔히 컴퓨터 교육의 폐해로 드는 것은 사람보다는 컴퓨터와 대화하기를 즐기고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해 결국은 기계적이고 폐쇄적인 사고를 가진 인간으로 성장하는 기형적인 사례들이다. 그러나 ... ...
「범죄와 유전의 관련성」 논쟁 활발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범죄예방이 불가능하고, 유전적연구를 통해 범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
반대론자
들의 저항은 거셌다. 한 정신의학자는 "미국 정부가 흑인 아이들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투약에 의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려는 계획을 수립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 심포지움은 개최되지 못하고 ... ...
유인행성탐사보다 지구관측이 중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전부터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을 계획하겠다고 밝혀왔다. 민주당 내에 강력한 프리덤
반대론자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사를 표명한 이유는 군축으로 위기에 처한 미국 항공우주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다.다만 NASA와 미 국방부가 독립적으로 진행하던 차세대 로켓발사시스템 NLS, 우주계획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환자에게 새 삶을 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이 뇌사인정론자들의 주장인 데 반해
반대론자
들은 뇌사판정에 있어서의 오진가능성을 염려한다. 또 장기암거래가 성행할 수 있고 병원측의 졸속 판정도 우려된다고 얘기한다.아무튼 금년에는 뇌사와 장기이식문제가 유난히도 신문지상에 많이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하고 지표면은 기복이 없는 완전한 구형을 이뤄야 할 것이라고 주장, 대륙이동설
반대론자
들을 기쁘게 했다.그후 많은 학자들이 앞다퉈 대륙이동설을 부정하는 논문을 발표했고 1930년 그린랜드 탐험도중 베게너가 사망함으로써 대륙이동설은 점차 쇄퇴하게 되었다. 물론 유럽의 일부 학자들은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우주선 선장)으로 선택된 자와 보조자로 바뀐 자, 계획 입안자, 신문기자, 우주 진출
반대론자
등의 행동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줄거리를 소설화한 흥미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정교한 구성 때문에 무미건조하다는 비평이 나오기도 했다.그러나 두말할 나위없이 이 작품은 그런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VDT규제법안을 적용하고 있을 뿐 민간 기업들의 반대로 입법화가 더딘 편이다. 규제
반대론자
들의 주장은 VDT에 대한 의학적 규명이 아직 완전하지 않다는 것. 국내에서는 노동부가 최근 VDT 증후군과 관련 각 사업장에 지침서를 배포한 바있다. 아무튼 국내에서는 VDT에 관한 전담연구기관부터 만드는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