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리"(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생체모방 기술로는 효율적인 로봇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리코티 교수는 배리 트리머 미국 터프츠대 생물학과 교수, 애덤 파인버그 미국 카네기멜론대 의생명공학과 교수 등 생체모방공학 연구의 대표적인 과학자 9명과 함께 최근 20년간 동물 모방 로봇이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검출했어요. 라이고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킵손 명예교수와 배리 배리시 교수,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라이너바이스 교수가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답니다. 라이고는 4km 길이의 터널 두 개가 직각으로 놓여 있는 구조예요. 중심에서 양쪽 터널의 끝을 향해 동시에 레이저 빛을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참여했다. 라이고가 기틀을 잡고 건전한 조직 문화와 연구개발 문화를 갖게 된 데는 배리시 단장의 공이 컸다. ‘ㄴ’자 모양인 라이고는 중앙에서 발사한 레이저가 90도를 이루는 두 팔 끝까지 갔다가 반사돼 다시 돌아오도록 설계됐다.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흐르면서 나무가 삭기 때문에 소리가 변질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심지어 내지배리 교수가 자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트라디바리우스 급’의 현대 악기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는 점(www.nagyvaryviolins.com)도 이 연구 결과를 곧이곧대로 믿기 어렵게 만들었다. 결국 명품 바이올린의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이런 멤리스터의 성질이 다시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배리스터: 두 개의 전극을 갖는 전자 부품. 두 단자 사이의 전압 차가 작으면 저항이 높지만, 전압 차가 커지면 저항이 작아진다. 전압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대표적인 비선형 소자다.뉴로모픽 칩의 성능은 우리의 뇌 ... ...
- [수학뉴스] 앨런 튜링이 남긴 노래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을 이용해 진행했습니다. 이번 복원 작업을 이끈 잭 코프랜드 켄터배리대 교수는 “암호해독가이자 수학자였던 튜링이 음악에 서도 선구자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증거”라며, “1940년대 후반에 컴퓨터를 음악 작업에 쓸 수 있는 악기로 봤다는 것이 놀랍다”고 말했습니다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루스(60개, 1927년), 로저 매리스(61개, 1961년))이었지만, 1998~2006년 사이에는 맥과이어, 소사, 배리 본즈가 합쳐 여섯 번이나 60홈런을 기록했다. 45홈런 이상을 친 슬러거도 리그 전체적으로 급증했다. 아무것도 모르던 야구팬들은 새로운 슬러 거들의 탄생에 환호했지만 현재는 모두 금지 약물을 사용한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공이 향한 곳은 홈플레이트가 아니라 타자 반대편에 멀찍이 서 있는 포수의 글러브였다. 배리 본즈는 고의사구로 걸어 나갔고 샌프란시스코는 밀어내기로 일점을 얻었지만, 다음 타자 브렌트 메인이 범타로 물러나 나가지 않았다면 상황은 달라졌을까.이런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라도 볼넷이 득점에 ...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과학동아 l2015년 03호
- 2001년 메이저리그 단일 시즌 최다홈런(73개)을 기록하며 신이라 불리던 그 사나이, 배리 본즈다. 하지만 본즈의 영광은 그렇게 오래가지 못했다. 신기록을 경신한 지 채 3년도 지나지 않아 ‘본즈가 스테로이드를 복용했다’는 약물 스캔들이 터져 나왔다. 마린보이 박태환이 복용했다고 알려진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중세유럽에 관한 대목에서 종교가 사회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음을 보여 주는 예로 캔터배리 대주교의 국제화를 말하는 부분이 나온다. 모든 국민이 중요시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자리였던 만큼 객관적인 실력 말고는 따로 따질 만한 자격 요건이 없어서 대주교의 국적은 상관이 없었다는 것이다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