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합"(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다루다’라는 뜻의 접미사죠. 현대 생명과학에선 많은 분자나 세포 등의 집합체에 관한 복합적, 총체적인 데이터를 활용해 대량의 생물정보와 이 정보들 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통합니다. 세포 내부의 모든 유전자, 유전체를 다루는 학문을 유전체학, 존재하는 모든 mRNA를 다루는 ...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유변학이 다루는 물질은 무한히 많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페인트, 고무 등 각종 고분자 복합재료로 물건을 만드는 공장에서는 물질의 흐름이 공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의학에서도 마찬가지로, 인공 장기를 만들 때 눈물이나 혈액의 점탄성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의외로 유변학이 가장 큰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화학 과목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화학은 암기와 이해가 복합되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과목들의 성격이 교차하는 경계라고 볼 수도 있죠. 그래서 화학에서는 직관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우선 직관에 바탕해 가설을 설정, 적용해야하는 문제가 많습니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세포는 어느 정도 자라면 더 성장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다. 그런데 간혹 신진대사가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며 급격한 성장을 보이는 세포들이 있다. 암이다. 미지의 영역인 뇌에 치명적인 암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암 후성유전학에서 방법을 찾고 있는 연구자들을 만났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당신은 오늘따라 기분이 좋다. 배는 적당히 부르고 햇살은 따사롭다. 콧바람을 흥얼거리던 그때, 평소 갖고 싶었으나 망설이던 물건이 눈에 띈다. 가방일 수도, 전자기기일 수도, 혹은 자동차일 수도 있겠다. 유독 기분이 좋던 당신은 평소라면 더 고민했을 그것을 단번에 구매하기로 선택한다.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불편한 점이 많아 오랫동안 피부용 접착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피부는 그 특성이 매우 복합적이다. 각질층은 건조하고, 모공에선 지질 성분이 흘러나오고, 피부 안쪽은 혈액 등으로 젖어 있다. 그래서 물건을 붙이는 단순한 접착제로는 접착력이 떨어진다. 또한, 기존 접착제는 대부분 주성분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정밀 의료가 보편화되려면 수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 기반을 쌓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작은 것, 세포에 집중한다’는 신념을 기업명에 담았습니다.” 류동환 엘엠엔틱바이오텍 대표(DGIST 20학번)는 회사 이름을 ‘LMNTIC(엘엠엔틱)’으로 정한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엘엠엔틱은 ‘원소의 ...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태양 일사량이 감소해 기온이 낮아지는 것이다. 다만 날씨에는 여러 기후감시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임교순 기상청 기후예측과 사무관은 “엘니뇨도 여러 기후인자 중 하나일 뿐”이라며 “다른 기후감시요소를 함께 고려해 기온을 예측한다”고 설명했다.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점을 감안하면 모순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스라엘 연구팀은 이런 ETX 복합체를 심장과 체절을 가진 쥐 배아로 발달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초기 배아 발달 과정을 생략하고도 생명체를 제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인공자궁, 착상 실험하기엔 충분한 수준 2018년 쥐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구를 관측하는 X선 대역 영상레이다를 비롯해 위성의 열제어장치, 전력증폭기, 복합항법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를 국내 개발했다. 7기의 큐브위성은 6개월 또는 1년 동안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7기 중 4기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도요샛으로, 편대비행을 통해 지구자기장의 변화 등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