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통 주둥이
주둥이 끝
주둥이
발사구
d라이브러리
"
부는 구멍
"(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헛발에 있는 조그만 갈고리로 오히려 나무를 더 세게 붙잡는다. 바람
부는
날에 때리는 방법이 성공하기가 힘든 것도 같은 이유다. 애벌레가 바람에 ... 곤충들이 알을 낳는데 지나치기 어려운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구멍
안에서 나비 애벌레 찾기비슷한 방법으로는 ‘쓸어담기’가 있다.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부는
관악기’ 를 뜻한다. 따라서 단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 중 짧은 악기란 뜻이다. 보통 지름 3cm, 길이 50cm의 대나무에 5개의
구멍
을 뚫어 만든다.
구멍
중 하나는 반대쪽에 뚫는데, 이유는 두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단소와 같은 관악기에 뚫은
구멍
을 ‘지공’ 이라고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배운다남극은 기온이 영하 55℃까지 내려간다. 여기에 최고 초속 50m까지
부는
바람이 더해지면 체감 온도는 더욱 낮아진다. 극한 환경이다. 하지만 모든 ...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빙하에 최대 4m 깊이까지
구멍
을 뚫어 얼음을 채취한 뒤 붙어 있는 플랑크톤을 얻어 낸 것이다. ... ...
국가 태풍센터의 착한 태풍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태풍을 이렇게 분류하지만, 세계기상기구는 1초에 33m 이상의 속력으로
부는
비바람을 태풍으로 구분하기도 하지요.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 정말 태풍에 눈이 달린 건가요?하하~, 태풍을 보면 가운데에 구름이 없는
구멍
이 있는데, 이 부분을 태풍의 눈이라고 불러요.태풍은 세면대에서 물이 빠져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굳은 의지를 다졌다.권 박사는 올해 초 항해 도중 장보고 호 선체에
구멍
이 뚫리는 사고를 당한 뒤 탐사방식을 육로 탐사로 바꿨다. 4개월 가까이 ... 제도까지 가는 데만 족히 4, 5주가 넘게 걸릴 예정이다. 바람이 거꾸로
부는
역풍 지역과 아예 바람이 불지 않는 지역도 뚫고 가야 한다.특히 장보고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조절해 원하는 비행을 한다는 것.연구자들은 풍동(일정한 속도로 바람이
부는
통) 속에 나비를 넣고 공기의 흐름을 볼 수 있게 샤워기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듯 작은
구멍
으로 연기를 흘려보냈다. 따라서 풍동을 옆에서 보면 평행한 흰줄이 오선지처럼 수평으로 그려진다. 풍동 속 나뭇가지 위에 ... ...
악기가 소리를 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막았던 지공을 하나씩 떼거나 대금을 세게
부는
것이다. 지공을 여닫을 때 음높이가 변하는 ... 모양은 다음 그림과 같다. 리코더는 개관이다.
구멍
을 모두 막은 A의 경우 바람을 불어넣는 부분과 ...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으므로
구멍
부분이 배가 돼 그림과 같은 정상파를 형성한다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윗부분에는 새 주둥이 모양의 입구에 작은
구멍
이 숭숭 뚫려 있으며, 포자가 성숙하면 이
구멍
에서 나온다. 국내에서 자라는 방귀버섯은 대부분 ... 낙엽이 진 나무 사이로 바람이 많이
부는
계절을 기다린 듯하다. 복균류는 포자 생성 기관인 담자기를 지닌 담자균류에 속하나, 복균류의 담자기는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덧붙였다. 하지만 대금의 원형으로 여겨지는 ‘횡적’(橫笛, 가로로
부는
피리)이 고구려와 백제의 음악에도 사용됐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볼 ... 막을 붙이는 ‘청공’이 각각 1개씩 있고 손가락으로 막아 음을 조절하는
구멍
인 ‘지공’이 6개 있다. 끝 부분에는 악기를 만들면서 음정을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반환점에 접근한 뒤 진행방향을 180˚ 바꾸자 앞에서 불던 바람이 뒤에서
부는
순풍으로 변했다.“호이스트(hoist)!”돛을 바꾸라는 길모어 스키퍼의 외침에 커다란 제내커가 요트 앞
구멍
에서 튀어나와 순식간에 바람을 받아 펄럭였다. 요트 가장 앞에 다는 제내커는 바람의 힘을 그대로 받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