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능"(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무려 1400여 건이 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산화탄소 배출장치 고장, 산소발생기 작동 불능, 냉각장치 부동액 누수 등 사고 유형도 다양했다.그 중 두 번의 대형 사고가 모두 1997년에 일어났다. 첫 번째는 1997년 2월 23일에 일어난 화재 사고였다. 화학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 14분간 화염에 휩싸였고, 4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그 덕분에 우리의 몸이 온전한 구조를 갖춘다는 얘기입니다. [두 번째 질문] 통제 불능 유전자, 암 전이 돕는다?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통에서부터 팔다리의 말단까지 몸의 구조를 결정하는 혹스 유전자. 이들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또 있습니다. ‘HOTTIP’과 유사한 듯 다른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14년 2월 한때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기적적으로 소생해 올해 7월 31일까지 작동을 이어왔다. 임무를 마친 위투는 달에 그대로 남게된다. 중국 정부는 2017년 달에 새로운 탐사선을 보내 암석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중력에 잡혀 적도면 근처를 공전하는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다. 5년 전 주엔진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된 탓에, 연구팀은 위성의 자세 제어용 보조엔진을 분사해 힘겹게 속도를 낮춰갔다. 보조엔진을 분사하는 시간은 20분. 필자를 비롯한 연구원들은 숨죽여 아카쓰키를 지켜봤다. 지구로부터 8분 19초의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강력한 신념이 머릿속 스위치를 누르면 누구나 악마가 될 수 있다. 때문에 그들을 구제불능의 악마로 취급해서는 안된다. 어쩌면 과학이 그들을 평범한 사람으로 돌리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지도 모른다.테러, 막을 수 있을까신념에 의해 집단과 융합된 사람은 그 집단을 위해 폭력을 쓰는 데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스트레스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한 요인이었다. 극심한 충격과 통제 불능 상황을 겪은 파리 테러 피해자들은 PT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테러 생존자들의 PTSD 발병을 막고, 만성질환으로 이어지지 않게 할 방법은 없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대처다. 미국 에모리대 ... ...
- 피가 둥둥…, 우주에서 수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술을 하려고 했다간 몸에 칼을 대는 순간 장기나 피가 공중에 떠오르고 수술실은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고 말 것이다. 이처럼 SF영화에서조차 상상하기 힘든 우주 수술을 국제 공동 의료진이 직접 실험에 나섰다.미국과 캐나다 의료진은 6월 26일 캐나다 국립연구소의 팰콘20 제트기를 타고 ‘컷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필봇-라이트의 자율주행에도 성공해, 소형 군집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PLUS | 통신불능 재난현장, 군집로봇이 해결한다? 조영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인지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대 등과 함께 네트워크 기반의 군집로봇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개체들이 서로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렇다면 사회의 어떤 점이 스트레스를 불러올까.“대표적인 것이 불확실성과 통제불능성입니다. 미래에 대한 불안과 그 불안을 내가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는 무기력함이 가장 크죠.”당장 내일, 다음 달, 이듬해, 10년 뒤 미래가 불투명한 요즘 사람들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스트레스에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수술 중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환자가 회복 후에 발기 불능 같은 여러 후유증을 앓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그림과 사진을 예로 들며 접합수술 방법을 아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논문은 1983년 ‘미국외과저널’에 실렸다.죽은 사람도 받을 수 있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