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
세모기둥
삼각기둥
d라이브러리
"
삼각
"(으)로 총 1,51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1000년이 넘도록 여러 재료를 혼합하고 정제하기 위해 고안하고 개량해 온 시험관,
삼각
플라스크 등과 같은 실험 기구들은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들의 사용은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다줬다. 기구들을 이용해 물질을 조합하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모양도 계속 변합니다. 특히 털제비꽃의 잎은 원 또는 계란 모양에서 하트 모양이나 넓은
삼각
형으로 변하지요. 산에 여러 번 오르며 제비꽃의 변화를 관찰하는 재미가 있어요. Q 제비꽃은 얼마나 다양한가요?제비꽃은 전 세계적으로 660여 종이 있다고 알려졌어요. 그중 우리나라에서 분포하는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공식 ‘피타고리안 승률’을 만들었다. 이름에서 짐작하겠지만 식의 생김새가 직각
삼각
형의 빗변 제곱은 다른 두 변의 제곱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닮아 피타고리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임스는 득점이 많고, 실점이 적은 팀이 순위가 높다는 단순한 사실에 착안해 이 식을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축구에서는 3명의 선수가 짝을 지어 연속적으로
삼각
형을 만드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삼각
형을 계속 유지한다면 짧은 패스를 통해 쉽게 상대 팀의 수비를 향해 돌파할 수 있다 ... ...
편의점 음식, 먹기 전 확인해 봐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신선한
삼각
김밥? 스티커 색깔 확인!
삼각
김밥 뒷면에 붙은 스티커의 색깔을 보면
삼각
김밥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어요.오전에 만든 것과 오후에 만든 것을 구분하려고 색깔이 다른 스티커를 붙이거든요. 어떤 것이 더 나중에 만들어진 김밥인지 확인해 봐요! 용어 설명 나트륨★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동전의 크기가 다양하면 어떨까? 100원짜리와 10원짜리 동전을 함께 채우면 가지런했던
삼각
형 배열이 들쭉날쭉해질 거다. 500원짜리 동전까지 추가하면 더욱 심해질 것이다. 토르콰토는 이처럼 불규칙하지만 고른 배열과 특징이 비슷한 배열을 ‘초균일성’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리고 어떤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결정의 형태를 연구하는 학문인 결정학에서 널리 쓰이는 결정 구조입니다. 둘 다
삼각
형으로 쌓은 구 세 개 위에 구 하나를 정사면체 형태로 쌓아나가는 배열입니다. 고체 결정도 구 형태의 원자가 쌓이면서 만들어지니, 구 쌓기 문제와 닮아있다고 볼 수 있죠. 두 형태로 구를 쌓으면 구 하나가 1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밝혔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5개의 점을 무작위로 찍은 뒤, 이중 세 점을 이어
삼각
형을 만든다. 이제 볼록 오각형으로 넘어가 보자. 항상 볼록 오각형이 만들어지려면 점을 몇 개 찍어야 할까? 볼록 오각형만 돼도 헤아려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 구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표면 전체를
삼각
형 여러 개로 덮은 다음, 오일러 지표를 구하면 표면을 덮는 데
삼각
형을 몇 개 쓰든 항상 2가 나온다. 따라서 공 모양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을 모든 점에서 가마 없이 빗는 건 불가능하다. 항상 2개의 가마가 생긴다. *오일러 지표 : 위상수학의 기초가 되는 불변량 중 ... ...
빈대 잡으려고 초가
삼각
태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초가삼간은 세 칸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집을 뜻해요. 빈대를 잡으려고 초가삼간까지 태운다는 속담은 작은 걸 없애려다가 큰 위험을 자초한다는 말이죠. 어쩌다 이런 속담이 생긴 걸까요? 빈대, 잡기도 어려워! 빈대는 주식인 피를 먹지 않고도 기온 23℃에서는 약 80일까지 살고, 13℃에서는 300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