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게 됐다. 평균적으로 분당 78개 단어를 말할 수 있었다.
사람
들은 대화할 때 일반적으로 분당 평균 150개의 단어를 ... 선보였다. BCI 기술을 이용해 뇌파를 읽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
들의 식사를 도와주는 식사보조 로봇도 이 연구팀의 ... 가격 저항성은 상당할 것”이라 전망했다. 해외에서
사람
을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뽑혀도 계속 다시 나 평생 수만 개의 이빨을 사용합니다. 부럽지 않을 수가 없죠. 그런데 최근
사람
의 치아도 새로 만들어 낼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그게 가능하다면 더이상 양치질에 스트레스 ... 교수와 같은 연구실의 김은정 연구교수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두
사람
은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실시한 ‘고생물 움직임 연구지원사업’에 지원해 연구비를 받는 데
성공한
다! 이제 행복한 연구 시작일까?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김공룡 ... 평가도 동료 평가 방식입니다. 연구의 의미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사람
은 역시 과학자라서겠죠. 김공룡 박사가 진행하는 정부 과제 ‘삼엽충의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높은 선수를 2번에 배치할 때 득점 생산력이 가장 높다는 주장을 펼쳤다. 대표적인
사람
이 주로 야구와 아이스하키 경기의 통계를 분석하는 톰 탱고다. 그는 1961년부터 2014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번 타자의 출루율이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잘 치는 타자가 한 타석에 더 많이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완주하면 성공하는 게임입니다. 간단한 게임이기 때문에 로블록스를 이제 막 시작하는
사람
들이 도전하기 좋죠. 이동하는 길마다 게임 기록이 저장되는 체크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 마우스 감도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서 커서가 반응하는 속도를 의미하지요.
사람
마다 원하는 감도는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더욱 빛난다. 밤하늘에 깔린 별들을 이리저리 이어서 별자리를 그릴 생각을 한 고대
사람
들의 상상력에 감탄하곤 한다. 서양에서 그리스로마 신화를 바탕으로 별자리를 그렸다면, 동양의 별자리는 청룡백호주작현무의 사신이 핵심이었다. 그렇게 수천 년 전부터 밤하늘은, 인류가 크고 강한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사용된다. 이 방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
은 미국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스왁(SWAC)’이라는 초창기 컴퓨터를 이용해 뤼카-레머 판정법을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흉내를 내고, ‘메탈을 연주해 줘’라는 요청엔 기타를 치는 흉내를 낸다. 이때 중요한 건
사람
이 로봇에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라고 말할 필요도, 코딩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알터 ... 연구팀은 유레카로 로봇이 가위질, 펜 돌리기 등 섬세한 동작을 학습하도록 했다. 그 결과
사람
이 직접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찾을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수학에 경외심마저 느껴졌다. 그 작업에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
으로서 조금이라도 일조하고 싶었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컴퓨터마다 가능하면 GIMPS의 ... 거대 소수를 찾는 것이 얼마나 의미 있는 일인지 침이 마르고 닳도록 설명했다. 아는
사람
컴퓨터도 모자라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오일러에게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가 편지를 보냈다. 난제는 두
사람
이 주고받은 편지에 적힌 내용이었다. 편지가 남아 있지 않았다면 둘 사이의 이야기로만 남을 수도 있었다. 골드바흐는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지만 대부분 러시아에서 살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