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지요. 디지털 세상은 거대한 건물과 바닷속 케이블인 셈이에요. 문제는 데이터센터가 뿜는 열입니다. 24시간 쉬지 않고 방출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막대한 전기에너지가 쓰이고, 이는 탄소 배출로 이어져요. 국제에너지기구는 2022년 기준 데이터센터가 쓰는 ...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구구단을 외자! 무늬도 만들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구구단을 외자! 무늬도 만들자!Part1. 곱셈구구에 오각형이 숨어 있다?!Part2. 화려한 방패 무늬를 만들자!Part3. 규칙을 따라 그려 봐 ... ...
- 규칙을 따라 그려 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움직여요. 이렇게 반복하며 시작점으로 돌아오면 신기한 무늬가 완성된답니다. 곱셈구구 4단은 4, 8, 12, 16, 20, 24, 28, 이에요. 규칙에 따르면 12는 1+2=3, 16은 1+6=7, 20은 2+0=2, 24는 2+4=6이 되는데, 28은 2+8=10으로 다시 두 자리 수가 돼요. 이때는 다시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 수를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새 학년, 새 학기 온라인에서도 함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고학년이 될수록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학습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읽고, 쓰고, 셈하는 것뿐 아니라 미디어를 활용해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해 발표하는 것도 학습에 중요하거든요. 그 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읽고 쓰는 능력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하지요. 먼저 로그인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예쁜 선물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다른 쥐와 비슷했다고 밝혔어요. 카제인이 생명체의 피부에 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지요. 다만 연구에 참여한 주바르 아흐마드 연구원은 “사람에게도 카제인을 사용할 수 있을지 안전성을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왜 이런 일이?→ 결과 : 책갈피 완성! 부분 ... ...
-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발광 생물을 이용해 인공조명을 대체하려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지난 2020년 러시아 셈야킨-오브친니코프 생물유기화학연구소는 루시페린 등 생물발광과 관련된 4가지의 버섯 유전자를 담배나무 유전자에 넣어 스스로 빛을 내는 나무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지구 생물량의 80% 가까이 차지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바꾸는 연습을 할지도 모른다고 추정했어요. 문어도 사람처럼 꿈을 꿀 가능성이 있는 셈이지요. 연구를 이끈 샘 레이터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원 컴퓨터신경윤리학부 교수는 “사람은 잠에서 깬 뒤 어떤 꿈을 꿨는지 이야기할 수 있지만, 문어는 꿈을 말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확인할 수 ...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치료해준다는 의미에서 붙은 별명이었죠. 사람이 아닌 문화재를 치료하는 의사인 셈입니다. 다만 저희는 문화재에 지나치게 손을 대기보다는 후대에 온전하게 물려줄 수 있는 정도로만 작업해요. 지광국사탑도 지금 보면 부실한 점이 있는 것처럼 다음 세대에 더 좋은 재료나 기술이 나올 수 ... ...
- [과학 용어] 요소/태양풍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자전의 영향으로 회전하면서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인 셈이지요. 지구 자기장은 태양풍이 지구를 비껴가도록 하는 방패 역할을 합니다. 태양풍의 영향을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극지방 하늘을 커튼처럼 형광색으로 물들이는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뇌파를 읽는 전극이 16개씩 부착돼 있다. N1 임플란트 칩 한 개에 1024개의 전극이 달린 셈이다. 이 칩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어서 외부에 뇌파를 전달하기 위해 따로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뉴럴링크 연구진은 피실험자의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낸 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뇌를 관찰하며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