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톱"(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존 연구에서 케라틴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다고 보고된 곰팡이(P. steckii)가 표본 깃털과 손톱, 치아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Q. 한국에서 처음 발견된 곰팡이도 있다던데. 국립생물자원관은 그동안 연구된 생물자원을 목록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그전까지 이 목록에 올라온 적 없던 ... ...
- 플레이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뻥 뚫리는 이서호(sai**) 독자의 4행시입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김봄(ras**) 네일(손톱)에 매니큐어를 바르는데 옴마야! 시…, 실수로 잘못 칠했잖아? 티셔츠에 칠해버리는 바람에 엄마가 매니큐어 금지령을 내렸다.김봄(ras**) 독자, 다음에는 긁으면 바로 지울 수 있는 어린이용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주에서 인쇄해 입지 않을까. 많은 우주비행사들이 우주 탐사 과정에서 어깨 부상, 손톱 손실, 유효 근력 손실 등의 고충을 겪는다. 우주복은 이러한 신체 손상을 최소화하고,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탐사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작은 우주선’ 역할을 해야 한다. 스페이스X는 우주비행사들의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케라틴(keratin)케라틴은 동물의 여러 조직에 있는 단단한 단백질입니다. 머리카락, 손톱과 발톱의 주재료이기도 하죠. 세포와 세포 내부 기관의 위치를 유지하는 골격에도 케라틴이 포함돼 있습니다. 우리가 각질이라고 부르는 죽은 피부 세포층도 대부분 케라틴 단백질입니다. 흔히 각질을 전부 ... ...
- [특집] 신비의 섬 제주도 식물들이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든 화분을 가리키며 말했습니다.“보이시나요? 이 식물이 제주고사리삼입니다.”엄지손톱만 한 조그만 양치식물이 보였습니다. 올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에서 1급으로 상향 지정될 식물입니다. 제주고사리삼은 전 세계에서 제주도에서만 자라는 데다, 원시적인 고사리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어 ... ...
- [가상 인터뷰] 불사 해파리, '이것' 때문에 영원히 어리게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투리토프시스 도르니이라는 해파리예요. 새끼손가락 손톱 크기로, 죽지 않고 계속 살 수 있어서 ‘불사 해파리’라고도 불리지요. 저는 유충에서 자라나면 해저 바닥에 붙어 있는 ‘폴립’이 돼요. 자기 몸을 복제해 개체들이 모여 있는 그룹을 만든 뒤, 성체로 함께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통해 흙으로 스며들어서 따로 물을 줄 필요가 없답니다. 봉선화를 심었는데 꽃이 피면 손톱을 예쁘게 물들일 거예요. 플라스틱 일기김은미 기자 플라스틱 컵이 산드리아 화분으로 변신!다 마신 플라스틱 음료 컵을 깨끗이 씻어서 화분으로 만들었어요. 산드리아를 심고 화분도 예쁘게 ... ...
- [4컷 만화] 로봇에게 사람 같은 피부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스스로 재생하는 능력이 있는 거죠. 타케우치 교수는 “앞으로 로봇 피부에 감각 신경과 손톱, 땀샘 등도 만들 계획”이라며, “로봇이 동물처럼 촉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섬유아세포 : 동물의 여러 조직과 기관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조직’을 이루는 세포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라하과통 을션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여기저기서 비명 소리가 들렸지요.‘이래서는 도저히 방법이 없겠는걸.’하다못해 손톱으로 바닥을 긁어보아도 속절없이 미끄러질 뿐이었습니다.‘어떡하지? 어떡하지! 우산 같은 거라도 있으면 바람을 받아서…. 아!’딱지는 입고 있던 윗도리를 벗었습니다. 드론이 날아와 도구를 이용하지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 잠시 손을 들어 엄지 손톱을 바라보자. 이 손톱을 1초에 약 700억 개씩 통과해버리는 입자가 있다. 이 입자는 매순간 태양빛과 함께 지구로 쏟아지고 있지만 누구도 느끼지 못한다. 우리 몸을 이루는 원자들과 어떤 상호작용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유령입자(ghost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