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승
은사
수녀
수사
d라이브러리
"
수도사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수 탄생 기념하는 세계인의 축제 마당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예수 탄생교회 바로 옆엔 성 캐더린 교회가 있다. 근대식 성당으로 1881년 성 프란시스코
수도사
들이 세운 가톨릭 교회다. 벽면은 흰색으로 성단 안에서 은은히 울려 퍼지는 성가는 순례자의 마음을 평화롭게 한다. 베들레헴 성탄 자정 미사는 바로 이 성당 안에서 이루어진다. 예루살렘 주재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②번은 동일한 의미의 문장 두 개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내 논문은 내가 과학자가 아닌
수도사
였기 때문에 인정받지 못했다’로 한 문장으로 합치는 방식이 좋습니다. 하나의 생각은 하나의 문장에 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③번은 문장이 길어져 필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흠집이 있었던 것이다.비슷한 시기에 태양을 주목했던 또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수도사
이자 천문학자였던 독일인 크리스트프 샤이너로, 천체망원경으로 태양을 겨누고 접안부에 흰 종이를 대면 태양의 모습이 투영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오늘날 태양투영법의 원조인 셈이다. 샤이너는 이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게다가 험난한 논쟁의 과정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프랑스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예수회
수도사
였던 가스통 파라디는 논쟁을 이어가진 않았지만 빛이 프리즘에 다른 각도로 들어올 가능성을 얘기하며 뉴턴의 생각에 반대했다.하지만 빛이 파동의 성질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 후크나 호이겐스는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확인된 소수는 41번째 발견된 ‘메르센 소수’. 희귀 숫자 연구에 몰두했던 17세기 프랑스
수도사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것으로 n이 소수일 때 ‘${2}^{n}$-1’ 을 해서 나오는 소수를 가리킨다. 3, 7, 31, 127 등이다.핀들리는 전세계 PC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메르센 소수를 찾아내는 프로젝트(GIMPS)에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듀란은 자신의 저술에서 인간 제물이 식용으로 소비됐다고 서술했다. 그리고 그의 동료
수도사
인 사하군은 이런 야만적인 이교도들을 정복한 것은 하나님이 내린 소명을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그림1). 이런 편견은 노예 무역이 성행하면서 더욱 고착됐다(그림2).사실상 카리브 해의 외딴 섬에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DNA 연구는 한세기 전의 그레고르 멘델이라는 오스트리아
수도사
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까지 유전은 피를 통해 이뤄진다고 생각됐다. 1859년 ‘종의 기원’을 썼던 진화학자 찰스 다윈조차 이런 생각의 벽을 뛰어넘지 못했다. 그는 두마리의 동물이 짝짓기를 하면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통일된 기보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가를 배우고 싶으면 이미 성가를 알고 있는
수도사
의 노래를 듣고 배워야만 했다.예를 들어, 오선지 위에 마디를 나누고, 음표( )의 머리( )와 기둥( )을 그려 넣었다고 상상해보자. 그레고리안 성가는 이 상태에서 음표 기둥을 삭제하고, 음표 머리도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빼앗아갈 수 있는 잠재적인 ‘악의 축’이라는 사실이 명백해졌다.1801년 이탈리아의
수도사
주세페 피아치가 소행성 중에서 가장 큰 지름 9백33km의 세레스를 발견한 이래 수많은 소행성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10만개 이상의 소행성이 발견됐으며 이 가운데 4만개의 궤도가 계산됐다. 발견되지 않은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지독하다. 참기 어려운 고약한 냄새를 따라가면 바로 분젠이 서있었다.오스트리아의
수도사
그레고르 멘델(1822-1884)은 수도원의 작은 정원에서 완두콩 실험을 시작했다. 그런데 실험 과정은 정말 엽기적이다. 무려 2만8천 그루의 완두콩을 기르면서, 그 많은 식물의 키와 꽃의 색깔, 그리고 열매인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