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리공"(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눈으로 확인했지?”사건 분석➋ 전기는 어떻게 전해질까?“고장난 게 틀림없어. 당장 수리공을 불러!”두 눈으로 봤지만 여전히 못 믿는 공영감님과, 여전히 아리송~한 닥터고글. 아무래도 전기가 어떻게 만들어져 집으로 오는지부터 차근차근 살펴봐야 할 것 같다.“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과학동아 l2005년 01호
- 1940년대 후반엔 상당한 거금)를 달라고 했다. 어이가 없어서 항목별 청구서를 요구하자 수리공은 ‘발길질 25센트, 발길질할 장소 발견 24달러 75센트’라는 청구서를 써주었다.아인슈타인이 이런 유머를 좋아한 이유는 짐작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발길질이 아니라 어디에 발길질해야 할지 알아내는 ... ...
-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사람만이 과학자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쇄소의 인쇄공, 요리사, 전기기술자, 컴퓨터 수리공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대부분의 사람이 과학자에 속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면에서‘Science Bookstart 운동’은 이른바 과학자라고 불리우는 사람만의 행동은 아니죠. 온 국민이 참여하는 ... ...
- 1 '암·백혈병의 원인' 연구발표 잇달아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이 것 뿐만 아니다. 미국의 보사부에서 행한 전기선로공이나 발전소 및 변전소 근무자, TV 수리공 등의 암 발생률에 대한 연구에서도 전 근로자에 비해 두배 정도 높다는 것을 사망확인서를 통해 발견했다. 또한 텍사스의 한 암연구소에서는 인체의 암세포가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증식속도가 24배에 ...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중 지난 여름에는 최소한의 필요량인 3개만이 작동했다. 지옥훈련으로 단련된 7인의 우주수리공엔데버호의 승무원들은 지금까지 우주를 비행한 사람들 중 가장 경험이 많은 사람들일 것이다. 7명의 승무원들은 통산 16회의 우주비행 경력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31시간의 우주 유영 경험이 있다. ...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과학동아 l1992년 01호
- 개량 발명하여 오늘날 세계적인 기업인 필립(Phillip)사를 탄생시켰으며, 23세의 자전거 수리공이었던 마쓰시타(松下)는 쌍(雙)소켓의 발명으로 일본 제일의 마쓰시타그룹의 총수가 되기도 했다.작은 발명으로 성공한 사례는 우리나라 발명계에서도 수없이 찾아볼 수 있다. 필자는 '발명으로 성공한 ...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않다. 야구선수중에는 스위치히터도 있고 밥은 오른손으로 먹으면서 왼손으로 작업하는 수리공도 있다. 이처럼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히 모호한 경우가 수두룩 하다.과거에는 '글씨 쓰는 손'이 왼손·오른손잡이를 나누는 절대적인 기준이 됐으나 그와 같은 단순판정이 비합리적이라는 ...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실천하면 바로 발명이 된다.필립의 십(十)자 나사못 발명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라디오 수리공이었던 필립은 일(一)자 나사못이 쉽게 망가지자 오래 쓸 수 있는 십(十)자 나사못을 고안했고, 그 생각을 자신있게 실천에 옮겨 세계적인 갑부가 되었다.요즘은 전국의 6천여개 학교에 발명반이 설치돼 ... ...
- PART IV 알라에서 트리할로메탄 까지과학동아 l1990년 09호
- 해버리면 돌연변이는 생기지 않는다. 우리 체내에는 DNA 손상을 수리할 수 있는 많은 수리공들(DNA 수복 효소)이 있어 인공적인 발암물질의 침범에 대항하고 있다.유전자 돌연변이가 암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만이 발암의 필요 충분조건은 아니다. 돌연변이를 일으키지 ... ...
- 새로운 삶 찾아줄 황금 의수과학동아 l1990년 06호
- 대한 조언을 구했다. "손의 모든 관절을 복원시키겠다는 욕심을 갖지말 것, 자전거수리공이더라도 고칠 수 있도록 쉽고 단순한 기계조작을 이용할 것"등의 원칙을 얻은 그는 자신의 손뼈를 X선으로 촬영해 그 하나하나를 면밀히 검토하기 시작했다.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정하는데만 꼬박 12년을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