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원
기원
시작
시초
발단
최초의 나타남
조짐
d라이브러리
"
시발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초끈 이론이 모든 것의 이론이라 주장하고 있다. 1984년 존 슈워츠와 마이클 그린이
시발
점이었다. 그들은 초대칭이 있는 끈 이론에서 시공간이 10차원이면 중력 변칙항(중력이 포함된 양자이론에서, 일반적인 좌표변환에 대해 같은 꼴로 변환되는 ‘일반공변성’을 깨뜨리는 항)이 사라진다는 점을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공은 분화된 체세포를 수정란 단계로 역분화시키는 연구의
시발
점이 됐다.거든 교수는 이 실험으로 이미 분화가 진행된 체세포도 온전한 개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유전정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이론 뿐만 아니라 실험으로도 증명했다. 그리고 핵이 가진 유전정보 외에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었으니 뭔가 이야기가 들어맞지 않는 것이다.따라서 초기우주 거대질량 블랙홀의
시발
점이 되는 ‘씨앗 블랙홀’은 무거운 별의 죽음으로 탄생한 것이 아니라 초기우주 가스의 급격한 수축으로 생긴 태양질량 수만 배의 블랙홀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또 초기우주의 별들은 지금 우주에서는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MEMS 및 나노 기술의
시발
점이 됐다.연구실 분위기는 자유로운 토론과 자율권이 보장됐다. 단, 세계적인 전문가가 되기 위해 시간 관리만큼은 철저히 했다. 연구 결과에 문제점은 없는지 조목조목 따지고 검증하는 철저함도 배울 수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부총장은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예로 들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의
시발
점을 놓고 당시 심사위원들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있었다”면서 “결국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처음 발견한 연구자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생리의학상은 상의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제자가 유전자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보여 함께 연구를 시작한 게 구조복잡도 연구의
시발
점이 됐다.다빈치적 사고가 필요그가 이끌고 있는 구조복잡도연구실은 인도와 베트남에서 온 연구원들이 국내 연구진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지에서 연구실을 방문하는 외국 교수도 해마다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조경철 박사가 세티 학술회의에 참여하면서 세계 과학자들과 교류했던 정도가 역사적
시발
점이었다. 조 박사는 국내에 ‘아폴로 박사’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그 뒤에도 간헐적으로 개인 차원에서 학술회의에 참여하는 일이 있었을 뿐 국내 과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세티 프로젝트에 가담한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인류 역사에서 길이 기억된다. 날개 없는 생물인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가를 수 있게 한
시발
점이었기 때문이다.라이트 형제의 세계 최초 비행 이후 비행기 발달을 가속시킨 건 양차 세계대전이었다. 당시 비행기 발달은 곧 속도의 향상을 뜻했다. 미사일이 개발되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줄무늬’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
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20세기 초의 전기기술자이자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도 화성에서 오는 전파 신호를 포착했다고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바뀌면서 빠져나가 옵신 구조가 ‘활성’ 상태가 돼 빛의 신호가 신경으로 전달되는
시발
점이 된다. 옵신의 빈자리에 다시 시스-레티날이 들어와 ‘비활성’ 상태의 로돕신으로 바뀌어 다음 빛 신호를 기다린다. 최 교수팀은 활성 상태의 옵신 구조를 밝히는 일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레티날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