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애국"(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정치에도 관심이 없다고 한다. 튜링은 단순히 퍼즐마니아라 전쟁에 참여했을까?튜링은 애국자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아돌프 히틀러를 매우 싫어했다. 또한 그는 연간 1500달러를 받으며 당대 최고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의 조교로 일해 달라는 제안을 물리치고, 영국 ... ...
- INTRO. 그대, 살아서 꿈틀대는 동해를 보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애국가 첫 소절 첫 단어가 바로 ‘동해’다. 가사 속의 동해는 우리 민족과 운명을 같이하는 결코 없어지지않을 영원함을 담고 있다. 그런데 요즘 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망언이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다.이 같은 움직임에 맞서기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내집단의 규율을 따르는 것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으며, 문화적으로도 충성심이나 애국심으로 장려되면서 점차 강화됐다. 단지 공차기에 불과한 축구경기에서 각 팀의 팬들이 열광적으로 자신의 팀을 응원하며, 심지어 폭력사태까지 종종 벌어지는 것은 이러한 인류의 오랜 본성이 반영된 것이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년 02호
- 불구하고 그저 뛰어난 실력발휘를 축구장에서 보고 싶은 국민의 열망이 현재로서는 애국심보다 앞선다고 할 수 있다.참고로 나는 면접에서 n5-n 꼴의 모든 자연수들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문제와, 미적분학 기본정리를 탐구하는 문제를 주로 물어 보았다. 수학-철학 복수전공 지망생은 과학철학자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속에서 자랐고, 지금도 미국에 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딸 모두 상당한 벨기에 애국자라고 한다. 어릴 때부터 벨기에를 방문하길 좋아했고, 지금도 틈만 나면 벨기에에서 휴가를 지낸다고 한다. 들리뉴 교수는 웃으면서 “제가 벨기에에 대해서는 세 가지로 다르게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인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공대 내에는 여러 인기 학과가 있지만 조선해양공학은 애국가처럼 ‘동해물이 마르는 일’이 없다면 영원히 연구돼야 하는 분야다. 또 조선해양공학은 공학에서 가장 오래된 학과 중 하나다. 서울대 공대는 1946년에 10개 학과로 시작했는데, 조선해양공학이 그 중의 하나다 ...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틈에서 꿋꿋이 자라나는 소나무는 우리나라 산림면적의 20%를 차지하는 흔한 나무다. 애국가 2절에 ‘남산 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라고 나올 정도로 고결한 절개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21세기 후반에는 남산에서 소나무를 찾아보기 힘들지도 모른다. ... ...
- 펭귄부부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아이를 격려하는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기대했지만 기대와는 달랐습니다. ‘애국가를 미리 가르쳐야 한다’ ‘한글을 가르쳐야 한다’ 등의 내용이 TV 화면을 스쳐지나갔습니다.잠시 생각이 갸우뚱 했습니다. 아이를 챙겨주는 건 부모의 도리가 맞지만 학교에 가면 배울 수 있는 것을 미리 부모가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총기 규제 정책을 지지했다. 반대로 자극에 예민한 사람일수록 국방비 증가, 사형제도, 애국주의, 이라크 전쟁을 지지했다. 위협적인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일수록 기존의 사회구조를 지키려는 보수적인 정책에 더 찬동한 것이다. 물론 위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도 이런 타고난 신체의 ...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기억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미국에서 이뤄진 실험 하나를 소개한다. 노트를 펴 놓고 애국가 가사를 적어보자. 단 노래를 흥얼거리면 안 되고 오로지 생각만으로 적어야 한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군데군데 틀린다. 미국 듀크대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전체 81단어(미국 국가) 중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