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억제"(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 분야다. 온코크로스는 현재 서울과 부산 등 3개 대학병원에서 임상 환자들과 전이 억제제의 효능을 추적 관찰 중이다. 김 대표는 2015년 이후 임상 의사와 온코크로스 대표직을 5년 넘게 병행해 왔지만, 2021년 2월 병원을 그만뒀다. 몸이 힘든 건 문제가 아니었다. 오전에는 의사로 환자들을 ... ...
- [기획] 항생제, 먹으면 감기 빨리 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몸에 들어오면 폐렴, 식중독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켜요. 항생제는 세균의 성장과 번식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죽게 만드는 약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세균성 질병에 걸리면 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받지요.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을 만든 건 1928년 영국의 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었어요. ... ...
- [가상 인터뷰] 뇌 조절하면 실컷 먹어도 다이어트 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자꾸만 먹어서일까? 요즘 들어 자꾸만 배가 볼록 나오고, 예전에 입던 옷도 잘 안 맞는 거 있지? 아휴, 그렇다고 매일 풀만 먹을 순 없잖 ... 대신 반응성 별세포에 주목해 비만 치료의 새로운 해답을 찾은 거야. 연구팀은 앞으로 식욕 억제 없이도 비만 치료가 가능해질 거라 기대하고 있단다 ... ...
-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뇌 속 수도관 주위 회색질이 크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반대로 이 부분을 억제하자 쥐는 놀이를 멈추고 웃음소리도 내지 않았습니다. 쥐를 불안하게 하는 강한 조명 아래에서 같은 실험을 한 결과 쥐는 덜 놀고, 웃음소리와 회색질의 반응도감소했어요. 연구팀은 수도관 주위 회색질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나눌 수 있습니다. 유익균은 우리가 스스로 만들 수 없는 대사 물질을 만들거나 병균을 억제하는 등 이로운 역할을 하는 반면, 유해균은 환경에 따라 병을 일으키죠. 평소 유익균과 유해균은 우리 몸속에서 균형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군집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상한 음식물을 먹거나 불규칙적인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증상도 나타나지 않아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했어. 또 항뮬러호르몬 주사가 난포 발달만 억제할 뿐 에스트로겐과 같은 다른 중요한 호르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도 확인했지.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페핀 교수는 “이번 연구의 목표는 고양이와 개를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피임 기술을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하되, 중간에 먹는 간식은 당 함유량 5g짜리로 선택하는 방법이죠. 당을 덜 먹으면 식욕이 억제돼 식사량을 줄이기도 쉽다고 해요. 약간의 의지만 있어도 실패할 수 없는 방법이지요.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당을 줄이는 편이 좋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다양한 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해 침입한 RNA를 파괴하고,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을 억제하는데 이것이 선천면역반응이다. 백신을 만들려면 이 선천면역반응을 회피해야 한다. 두 과학자는 2005년,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를 재료로 mRNA를 만들어 인체에 투입하면 선천면역반응을 줄이고, 백신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활성화시켜 다양한 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하고 RNA를 주형으로 하는 단백질 발현을 억제한다. 커리코 부사장과 와이스먼 교수는 2005년 논문에서 tRNA(운반RNA)가 선천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고, 이러한 tRNA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에 특별한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원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교수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의 인터뷰에서 “아기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억제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는 것과 (뇌 변화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공 자궁은 아직까지 많은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사례가 많지 않다 보니 의학적인 처치로 살 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