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분규
혼란 국면
뒤엉킴
꼬임
d라이브러리
"
얽힘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동시에 나쁜 기분 상태는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갖는 양자 중첩과 닮았다. 양자
얽힘
이란 서로 다른 양자들의 기분이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얽혀있는 두 양자 중 하나의 상태가 결정되면, 나머지 한 양자의 상태도 덩달아 결정된다. 까다로운 양자의 기분을 어이하리 큐비트의 ... ...
[특집] 실험으로 직접 보인 양자 세계의 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2호
결과가 이미 정해져 있다고 말했어요. 1964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존 스튜어트 벨은
얽힘
을 둘러싼 논쟁을 판별하는 부등식을 만들어 발표합니다. 성균관대학교 나노공학과 정연욱 교수는 “벨의 업적은 양자역학의 설명이 맞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THE 2022 노벨상 NOBEL PRIZE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22년 10월 3~5일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양자
얽힘
을 실험적으로 보여주고,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들은 물리학상을, 화학상은 간단한 방법으로 두 분자를 결합하는 반응을 찾은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고유전체 해독 기술을 바탕으로 인류에 대한 이해를 넓힌 과학자는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기반 양자컴퓨터’에 양자
얽힘
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양자 컴퓨터 연구는 양자
얽힘
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방향으로도 이어져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런 경향성은 노벨상 수상자들의 논문을 ‘어느 분야 과학자들이 인용했는지’ 분석한 결과에서도 볼 수 있다. ...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차일링거 연구팀은 이러한 상태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고, 1999년 3개 광자들의
얽힘
상태를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현재는 광자뿐 아니라 다양한 물리계들을 이용해 더 많은 수의 큐비트를 얽히게 한 뒤 이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을 어디까지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보여준 일… 보이다… 보다… 관찰. 관측?혹시 타인이 채팅방을 보는 행위가 양자
얽힘
을 풀었던 걸까? 상자 속 고양이를 관찰함으로써 생사를 결정짓듯이? 논리적이었다.하지만 허탈함을 감출 길이 없었다. 이상하지만 뜻이 잘 맞는 친구를 잃은 것 같아 마음이 몹시도 헛헛했다. 이대로 영영 끝인 ... ...
다른 우주의 길목, 웜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두 입자 중 하나의 정보가 결정되면 다른 입자의 정보 역시 결정될 수 있다는 ‘양자
얽힘
’은 분명 관측으로 확인된다. 이때 두 입자가 멀리 떨어져 있다면 정보가 빛보다 빨리 전달된다는 모순이 발생하는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만약 상대성이론의 결과인 웜홀이 두 ... ...
[인터뷰] IBM·구글 아성에 도전 다이아몬드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연구했지만 아직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 된다”며 “양자 연구를 꿈꾼다면 ‘
얽힘
’ ‘중첩’ 등 어려운 개념을 이해하느라 흥미를 잃지 말고 자신이 하던 분야를 갈고 닦을 것을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차원 문제들을 설명해야 해요. 저는 특히 홀수 차원에서 일어나는 사교 기하학적 구조의
얽힘
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이를 이용하면 3차원 공간에서 데이터가 얽혀있는 상관관계나 단백질의 불규칙한 모양 등을 설명하는 문제를 풀 수 있을 겁니다. 아직 해야 할 일이 산더미지만, 그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
얽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라우레 메르시에 드 레피나이 핀란드 알토대 연구원은 “만약 이런 움직임이 오롯이 양자
얽힘
에 의해 일어난 거라면, 두 조각의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불확정성의 원리를 깰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bf538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