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감"(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재료 찾는 재미가 솔솔~ 음식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크기, 색깔, 그리고 질감을 잘 관찰해보세요. 눈으로도 보고, 맛도 보고, 냄새도 맡는 등 오감으로 재료를 관찰하면 도움이 돼요. 예를 들어 나무를 나타내고 싶다면 나무와 비슷한 여러 가지 녹색 채소 즉, 브로콜리, 셀러리, 애호박 등을 자세히 살펴보는 거예요. 2단계 주제 정하고 나만의 작품 ...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되었어. 답답할 줄말 알았는데, VR 덕분에 집콕 생활도 나쁘지 않은걸?! VR로 보고 오감으로 느낀다.“앗! 차가운 음료수 캔을 만지는 것 같아요!”지난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가상현실 세계에서 뜨거움과 차가움을 느낄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자, ‘전자피부’를 ... ...
- 과학으로 즐기는 슬기로운 비대면 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과학으로 즐기는 슬기로운 비대면 생활Part1.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Part2.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Part3.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Part4.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 ★ 도움이진우(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응용 나노 및 ...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거쳐 뇌의 시상에 도달하고, 시상에서 정보를 종합해 대뇌피질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오감은 자극과 반응이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그런데 예외적으로 하나의 자극에 대응해 두 개 이상의 감각이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공감각적 심상이라고 배우는 내용이다. 후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Hubble “인간은 오감으로 자기 주변의 우주를 탐험한다. 우리는 이 모험을 과학이라 부른다.”_에드윈 허블지난 30년 동안 우주에서 활약하며 인류 탐험의 역사를 상징하게 된 허블우주망원경. ‘허블’이라는 이름은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수많은 천문학자 중에서도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결심했다.인공지능 뉴로모픽 시스템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시스템으로 인간의 오감(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데이터를 기계 스스로 학습해 판단하는 장치다. 뇌를 모방한다는 것은 결국 뇌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틈(시냅스)에서 벌어지는 전기적 변화를 밝혀 전자소자에 ... ...
- [방학출동! 기자단2] 오감으로 느끼는 숲과 바다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만나러 오란 내용이었지요. 기자들이 체험한 특별한 취재를 함께 쫓아가 볼까요?! 오감으로 느끼는 홀로그램 숲전시장 입구에 다다르자 빨간 조명이 반짝이는 푸른 숲이 기자단 친구들을 반겼어요. 크리스마스 트리를 연상케하는 이 숲은 ‘팀보타 숲’이에요. 팀보타는 자연을 오브제*로 공간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인간의 오감으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검사 참가자의 대부분이 지방맛을 느끼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마블링이 고기의 풍미*, 조직감*, 다즙성*에 고루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맛있다’는 느낌을 준다고 설명한다.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읽으면천재 | 액시온 우주를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의 오감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에너지는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별과 행성, 가스 등 보통물질은 전체의 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로 채워져 있다고 본다. 하지만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합니다. 먹을 것을 여기저기 숨겨 놓고 어렵게 찾아 먹게 한다거나, 냄새, 소리 등의 오감을 자극하는 등 각 동물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겁니다.한국에 한 마리 남은 북극곰이었던 에버랜드의 ‘통키’는 11월 말 영국 요크셔 야생공원으로 이사를 갈 예정이었습니다. 그동안 북극곰의 서식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