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박
d라이브러리
"
우직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진화심리학자이자 ‘오래된 연장통’의 저자인 전중환 경희대 교수는 “이윤석 씨의
우직
한 노력 덕분에 국 독자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호사를 누리는 ”이라고 말했다.“과학자가 아닌 이상 깊이 있는 책을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과 예능 사이의 징검다리가 돼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려내는 데도 아무 관심 없다는 듯 오늘 수확한 소금을 꾸준히 창고로 나르고 있다.
우직
하게 기다려온 태양과 바람의 결실이 창고에 그득히 쌓여간다. 햇빛과 바람과 함께 일하는 그들의 모습은 미련스러우면서도 평화롭다. 진정 슬로시티에 와 있음을 가슴으로 느끼는 순간이다. 조선 로켓,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기회를 주고 싶어서였다. 고 교수는 해양과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곰처럼 단순하고
우직
한 편이 좋다고 조언한다. 뜨거운 태양, 거센 파도와 싸우고 히드라와 해파리의 독도 이겨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해양생물을 ‘횟감’이 아닌 연구대상으로 진지하게 관찰하는 여성 특유의 섬세함이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부른다. 학창시절, 선생님이 내준 시험범위에 관계없이 처음부터 배운 곳까지 공부했던
우직
함이 여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구 박사의 원래 전공은 반도체가 아닌 강유전체와 레이저다. ‘생뚱맞은’ 실리콘과의 만남을 가진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연구자는 자신이 인연을 맺고 있는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걸어온 그는 지난 5월 30일 현장지휘관 공로로 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 배 공장장의 이런
우직
함은 포스텍 재학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몸에 밴 생활 습관이다.오픈북이나 오픈노트 방식으로 시험을 보면서도 시험 감독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장소에 구애 받지 말고 다음 날 몇 시까지 답안을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대로 책을 펴 들었다. 밤이 되면 등잔불 아래에서 공부를 이어갔다. 요령이 아니라
우직
함과 끈기로 고교 시절을 보낸 셈이다.그 때문일까. 유행을 좇거나 이름 알리기에 은근히 힘을 쏟는 최근의 일부 연구 흐름이 그는 탐탁지 않다. 유 교수는 1985년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 ...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엘니뇨가 오기 몇 달 전부터 예보가 가능한 이유도 이런 바다의
우직
함 때문이다.“엘니뇨는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아프리카 남부에 가뭄이 들고 북대서양을 통과하는 허리케인 수가 줄어드는 현상은 원격상관(teleconnection) 때문이죠. 매우 강한 엘니뇨가 ... ...
화학나라 참살이시의 시장은 바로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저를 녹일 수 있는 딱 한가지의 물질에 왕수(王水)라는 이름을 붙인 것만 보더라도 저의
우직
함을 잘 알 것입니다.또한 지구상에 얇게 펴지는 성질인 전성과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에 대해서 저를 따라올 물질은 없습니다. 1그램의 금으로 2800미터의금실을 뽑을 수 있을 만큼 유연하다는 것입니다.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뚜껑은 공기나 수증기가 새나가지 않게 해 줘서 밥알 속까지 고루 익게 하지요. 겉모양은
우직
하니 멋대로 만든 것 같지만 사실 가마솥에는 이와 같은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답니다.아직 가마솥 밥맛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가마솥으로 지은 밥을 주는 식당에 온가족이 가서 밥맛 의 진수를 느껴 보는 ... ...
비를 내리게 하는 3가지방법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작용한다. 이것 역시 빙정설에 의해 비를 내리게 하는 방법이다.세번째 방법은 다소
우직
하긴 하지만 비행기에 물을 가득 싣고 가서 구름 위에 뿌리는 것이다. 비경제적이라고 비웃을지 모르지만, 이론상 최대 1백만배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열대지방에서 비를 내리게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