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본인"(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전 소비자의 구매 이유를 분석하는 ‘장바구니 분석’ 기법을 한 단계 발전시켰던 장본인이다.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수학이 대세였습니다. 당시 후보였던 버락 오바마의 선거 캠프가 수학이나 통계학 학위를 가진 사람을 찾아다녔죠. 그렇게 꾸린 데이터 분석팀은 방대한 유권자 데이터를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선택? 이타적 행동은 종을 보존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집단 선택론과 평생을 맞서 싸워 온 장본인인 해밀턴 앞에서 지금 집단 선택을 입에 올리는 건가? 집단 선택 같은 낡은 유물은 이제 잘 포장해서 박물관으로 보내버려야 하지 않나? 해밀턴은 즉시 대답했다. “물론 아니죠.” 그리고 이렇게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일으킨다. 매 겨울마다 유행하는 계절성 독감과 수십 년 주기로 대유행 독감을 일으키는 장본인이다. 공처럼 둥근 모양으로 지름은 약 80~120nm다. 핵단백질에 따라 A, B, C로 나누는데 대개 A형 중 H1N1과 H3N2, 그리고 B형이 계절성 독감을 일으킨다. 종류와 분리된 지역, 분리주 번호, 발견된 연도의 순서로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할 키얼스태드와 윌리엄 트로터가 쓴 논문에 따르면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출제한 장본인으로 서로 다른 사람을 지목했습니다. 헝가리의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트로터를, 트로터는 아르헨티나 출신 수학자 이탈로 호세 데테르를, 데테르는 에르되시가 가운데층 문제를 만든 사람이라고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품었던 기대와 달리, 위의 인용문만 놓고서는 할데인이 이타성의 문제를 최초로 푼 장본인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메이나드 스미스가 앞서 인용된 서평에서 “할데인은 ‘신생물학’에 실은 글에서 그 아이디어를 언급하긴 했지만 더 이상 발전시키진 않았다.”고 갑자기 꼬리를 내린 것도 이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탐구하는 데는 활용하지 않았다. 라이트의 관계 계수를 빌어다가 이타성을 처음 설명한 장본인은, 이 시리즈를 꾸준히 읽어온 독자라면 익숙할, 윌리엄 해밀턴이었다. 단, 해밀턴은 유전적 근연도가 관계 계수와 똑같다고 말한 적이 결코 없음에 주목해야 한다.자연 선택이 느리다는 조건이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분리됐다.해류극지의 환경을 만들다극지를 순환하는 해류는 오늘날 극지의 환경을 만든 장본인이다. 북극은 따뜻한 대서양 바닷물이 상승하면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해 해빙을 형성하고, 남극은 남극 순환류라는 차갑고 빠른 해류가 돌면서 따뜻한 해류가 흘러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다 ...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클레인 에스테르라는 유태인 여학생을 만났지요. 이 여학생이 해피 엔딩 문제를 소개한 장본인입니다.세케레시와 헝가리의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머리를 맞대고 이 문제를 일반화했습니다. 그리고 1935년 논문으로 발표했지요.2년 뒤 두 사람은 결혼했습니다. 참고로 부부가 된 세케레시와 클레인은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워리어스의 선수다. 조금 침체해 있던 미국 프로농구를 다시 활활 불타오르게 한 장본인이다. 키도 농구선수치고 크지 않고, 슛도 다른 선수들보다 멀리서 던진다. 상대편 코트로 공을 가져와 골대로 던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도 무척 짧다. 그런데도 이번 시즌 한 경기 평균 득점이 30.1점이다.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역작 ‘사회생물학’을 놓고 거센 논쟁이 벌어졌을 때 윌슨을 가장 혹독하게 비판한 장본인이기도 했다. 그런 리치 교수가 이타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를 연구할 계획이니 사회인류학을 공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청하는 이과생을 문전 박대한 것은, 차라리 당연했다.게다가 유전학과도 인류학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