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공간
곳
현장
자리
스페이스
지면
d라이브러리
"
장소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어요. 이에 대해 강기혁 부대표는 “로봇은 한파나 폭염, 위험한
장소
등 극한 환경에서 사람이 할 수 없는 부분 위주로 투입되기 위해 존재한다”고 전했습니다.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기보다는 사람이 하기 힘든 빈틈을 채우는 역할을 하게 되는 거죠. 자율주행 차량과 로봇이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과학동아 독자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청량리에서 기차로 2시간 30분이나 걸리는 먼
장소
였지만, 10명의 독자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집합 시간보다도 훨씬 일찍 도착해 기다리고 있었다. 노푸름 독자는 “좋은 기회를 더 뜻깊게 만들기 위해 랩투어 하루 전날 나름 열심히 공부했다”며 기대감을 ...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지우기보다 가능한 한 저장하려고 할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늘어나는 정보는 보관할
장소
를 마련하기 어려울뿐더러 에너지 문제와도 연결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지구 전체 전력 소모의 1%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어요. 데이터가 늘어나면 이 비율도 점점 ... ...
[SF소설] 엔딩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휴대폰을 들고 정우를 찾으러 다닐 때 아리가 본 올림픽 공원은 그녀 생에 가장 아름다운
장소
였다. 밤은 손에 감각이 없어질 만큼 추웠지만 추운 밤이어도 빛으로 가득했고, 그 밤 덕분에 아리는 올림픽 공원을 영원히 좋아하게 된다. 물론 몽촌토성 둔덕들과 그 너머로 보이는 빛 같은 것들을 ... ...
영화를 DNA에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지우기보다 가능한 한 저장하려고 할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늘어나는 정보는 보관할
장소
를 마련하기 어려울뿐더러 에너지 문제와도 연결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지구 전체 전력 소모의 1%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어요. 데이터가 늘어나면 이 비율도 점점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집에 늦은 적도 있지요. 사마귀를 방생할 때 날개에 작은 표시를 했는데 나중에 같은
장소
에서 다시 발견하기도 했어요. Q. 나중에 해보고 싶은 일이나 꿈이 있나요? 일본 남쪽 오키나와 지역에 있는 난세이 제도에 가보고 싶어요. 아열대 생물에 관심이 많거든요. 일본 아마미오섬에만 사는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목소리를 통해 로봇임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의 동일한 로봇이 있는
장소
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책임을 질 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로봇에 번호판이나 색깔 등을 부여해 개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로봇과 AI 강소국인 한국은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을 선보였어요.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
에 도착하고 나서 20분 안에 상태를 파악한 뒤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놓치지 않고 닦는 모습이 웬만한 사람만큼 야무지다. 하이파이브의 경우, 다양한
장소
, 다양한 옷, 다양한 키를 가진 사람들의 조건에 맞춰 하이파이브를 한다. 하이파이브란 동작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어려운 작업이다. 모바일 알로하에게는 여전히 단점이 많다. 작업을 가르치기 위해선 아직 각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그때부턴 미생물의 먹이다. 따라서 시체에 꼬이는 벌레의 수와 종류 등으로 시체 유기
장소
를 특정하는 법곤충학과 비슷한 원리로 미생물의 종류와 수를 이용해 체액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는 이 점을 활용해 지난 2023년 3월 ‘체액 식별 모델 구축 장치 및 방법과 체액 식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