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비
천박
값쌈
추잡함
d라이브러리
"
저속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주로
저속
이기 때문에 운전자는 힘의 차이를 더 많이 느낀다. 다시 말하면 디젤엔진은
저속
에서 가솔린엔진보다 힘이 좋고, 이런 특성이 건설 중장비나 대형트럭에 알맞기 때문에 디젤엔진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다.이렇게 획기적인 발명을 한 루돌프 디젤은 그 후 어떻게 됐을까? 안정적으로 사업을 ... ...
1개월을 1분으로 압축하기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과정 등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일을 압축해서 보여준다.타임랩스 카메라는 이중 초
저속
카메라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 장비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간편하게 동영상을 만들어보자.예를 들어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타임랩스 카메라로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화분 앞에 타임랩스 카메라를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마치 새 날개를 연상케 한다.초소형 플래핑 무인기는 고정익 비행체가 따라 하기 힘든
저속
비행과 장애물 회피에 탁월하다. 때문에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지만 아직 상용화된 무인기는 없다. 글로벌옵저버로 유명한 에어로바이론먼트사가 2002년 처음 20cm 크기의 플래핑 비행체를 ... ...
트랜스포머 꿈꾸는 변신공학 "날개만 접으면 나는야 최강 전투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비행기다. 날개의 방향을 바꿔주는 것만으로 고속비행에서 날렵한 운동성이 필요한
저속
비행에 적합한 비행기로 완전히 바꿔 줄 수 있다.세계 최초의 가변익 전투기는 미국이 개발한 ‘F-111 아드바크(Ardvark)’다. 1964년 첫 모델이 나왔을 만큼 오래된 모형이지만 최대속도 마하 2.2(시속 2690km)에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나도 모르게 습관이 되어서, 혹은 욕인 줄도 모르고 쓰고 있지는 않나요? 사람들이 쓰는
저속
한 표현들은 듣는 이에게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고 언어 예절을 해치게 되지요. 안 좋은 언어 습관을 버리고 언어 예절을 잘 지킨다면 자신의 품격도 높이고 다른 사람들과 좋은 위한 방법을 함께 고민해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때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해천 교수의 포부다.[자동차의
저속
과 고속에서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내려갔다 들리는 PMD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날치의 앞지느러미 단면이다. 물체를 띄우는 힘을 약 25% 올려주는 비밀이 그림에서 표시한 뼛살에 담겨 있다.]4 ... ...
교차반전식 헬리콥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프가니스탄에서 운용되는 카만 K-MAX는 중심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교차반전식’ 헬리콥터다. 일반적인 헬리콥터는 가운데 회전날개 하나에 ... 꼬리회전날개가 필요 없다. 사용동력에 비해 양력이 크고 조종성이 좋으며, 정지비행과
저속
비행 시 비행안정성이 뛰어나다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마이클 애시버너는 “유명하거나 부유한 사람들을 염기분석하는 일은 지독히
저속
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래서인지 저자는 친구들에게 “뭐가 그리 특별하기에 그런 일을 하냐”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유전 정보를 공개하는 일에 이토록 주변의 거부감이 심한 것은 ‘공개’가 그리 만만한 일이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공개했다. 2013년부터 인천국제공항 6.1km 거리에서 운영될 계획이다. 이 열차는 도심형
저속
철도다. 고속형 자기부상열차 계획은 아직 없다. 최근 현대건설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자기부상열차 선로 제작 기술을 개발하는 등 건설기술만큼은 대학, 정부연구기관, 기업들이 앞다퉈 연구하고 있다.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자동차는 전지로 움직이는 전기모터와 가솔린 엔진의 두 가지 동력을 사용한다.
저속
으로 달릴 때는 모터를 이용하고 고속으로 달릴 때는 엔진을 이용한다. 일반 자동차가 휘발유 1L로 약 10km를 간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50km를 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동력을 이용하는 만큼, 언제 어떤 에너지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