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온몸
혼신
사지육체
전서
일신
전신요법
요법
d라이브러리
"
전신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모스부호는
전신
기 특허가 개정된 1848년 6월 13일 특허 서류에 실렸습니다. 지금은
전신
이 쓰이지 않지만, 모스부호는 아직도 위급상황이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 쓰인답니다. ... ...
[헷갈린 과학] 이거 없으면 병원 못 간다! 진통제 VS 마취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못할 수 있고, 적게 사용하면 수술 치료 도중 깨어날 수도 있지요. 그래서 수술에 필요한
전신
마취의 경우 마취를 전문으로 하는 마취의가 마취를 담당한답니다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짚어 봤습니다! 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대한수학회의
전신
인 ‘조선수물학회’가 창립된 1946년을 기점으로 볼 때 76년의 시간이 흘렀지요. 한 세기도 되지 않은 짧은 역사로 놀라운 성과를 거뒀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게 하루아침에 벌어진 일은 아닙니다. 한국 수학계가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중으로 임상시험에 돌입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BCI 기술이 상용화되면 척수 손상으로
전신
마비가 된 환자도 신체의 기능을 회복할 기회가 생긴다”고 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을 연구한다”SF영화 속 미래가 바이오메디컬공학 덕에 차츰 가까워지는 가운데, 이 분야에 관심 있는 ... ...
[SF소설] 내 몰리나의 신경망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다행히 실제 차는 아니어서, 홀로그램이 이상하게 일그러지며 영상은 끝이 났다.
전신
에 소름이 돋았다. 내가 손을 덜덜 떨고 있자, 서랍이 열리면서 작은 수건이 나왔다.“정아 님, 식은 땀을 너무 흘리고 계세요.”“너는 지금 저걸 보고서도 멀쩡해? 이게 멀쩡해 보여?”“저는 관리자 모드로 정아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루셈도 기상관측용 정지궤도복합위성 천리안 2A에 들어있는 우주기상탑재체(KSEM)가
전신
이다. 완전히 새로 개발한 관측 장비도 있다. 달 표면의 입자를 관측하는 그레인캠스(GrainCams)다. 아폴로 프로젝트에 참여한 우주인들은 달 위를 걸으며 지표면 근처에 미세 먼지가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9호
장치가 필요했죠. 연구팀은 섬유 원단과 스트랩, 고무줄 등 신축성 있는 재료로
전신
엑소슈트를 만들었어요. 이 슈트는 착용자가 무릎을 펴고 허리를 굽히면 신축성이 낮아져 스툽 동작을 불편하게 만듭니다. 반면 허리를 펴고 무릎을 굽히면 신축성이 높아져 자연스럽게 스쿼트 동작을 할 수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결말이 좋지 않았다. 발견했을 때 낚싯줄에 엉킨 오른쪽 다리는 이미 절단된 상태였다.
전신
에는 구더기가 들끓고 있었다. 구조센터에서도 전혀 상태가 호전되지 않았고 치료 중에 폐사했다.무분별하게 버린 낚싯줄 하나가 숱한 생명을 끊어낸다. 낚싯줄은 굉장히 날카로워 야생동물 신체 일부가 ... ...
[SF 소설] 당신의 신호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모양이다. 역설적으로 그 폭력을 마지막으로 아버진 드디어 폭력을 멈춘 걸로 보였다.
전신
이 축 늘어져 있었다. 잠시 후 로봇 의사가 병실에 들어왔다. 충전을 하느라 늦어졌단다. 그는 아버지 이름을 여러 차례 부르더니 의식 테스트를 하겠다며 내게 동의를 구했다. 나는 얼떨결에 서명했다. 그는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주. KAIST의
전신
인 한국과학원(KAIS)은 1971년 서울 홍릉에서 개원했지만 당시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 현재의 KAIST 학부 과정이 된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은 1986년 대전에서 처음 입학생을 받았다. 같은 장소에서 캠퍼스를 경험한 두 ‘새내기’의 기억을 비교하기 위해 50년 전이 아닌 1986년 첫 학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