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점
터미날
터미널
종단역
종착지
시발역
종점도시
d라이브러리
"
종착역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두 병원에서 떠나보낸 동현에게 병원은 치료를 향한 돌파구가 아닌 생의 마지막
종착역
이다. 그래서 그녀는 병원을 찾지 않고 혼자 병을 치료한다. 냉장고에서 약을 꺼내 스스로 주사하는 모습은 관객들에게 섬뜩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혈우병 치료에 사용하는 응고인자 ... ...
같은 듯 다른 소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하는 번호가 붙어 있다. 1호선은 소요산역 100번, 2호선은 시청역 201번을 기준으로
종착역
으로 갈수록 번호가 올라간다. 번호가 커지는 방향이 하행, 작아지는 방향이 상행이다. 신호음이 사라졌다!최근 서울 지하철 5~8호선에서는 신호음을 들을 수 없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생기면서 지하철이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계적으로 저명한 기상학자이지만 그에게도 한국에서의 경력은 중요하다. 그의 이력의
종착역
이 한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한국에 오기 전 크로아티아에서 1년간 기상청 현대화 계획의 컨설팅 책임자로 있었다. “자신의 경력을 빛낼 사람들은 이곳에서 함께 일할 동료들”이라고 말하는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남긴 음식 등 동물이 먹을 것이 상대적으로 풍부해 사는 종의 수도 많다는 것이다.
종착역
지리산끝나지 않은 백두대간열차는 무려 1400㎞를 숨가쁘게 달려 지리산에 도착했습니다. 웅장하게 펼쳐진 산지를 여행한 기분이 어떠신지요. 백두대간의 지리, 식물, 동물을 차례로 보았습니다만 백두대간의 ... ...
퇴적 예술의 걸작품 두무진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서해바다의
종착역
이다. 북한 황해도 장산곶에서 불과 17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이곳은 휴전선과 가깝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태초의 신비와 아름다운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무공해 섬이다.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백령도는 마치 한 마리 새가 북쪽의 장산곶을 향해 날개 짓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새의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과제였던 면역 거부 반응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아직
종착역
에 다다른 것은 아니지만 이런 성과를 거두기까지 우리 인류는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50년이 넘는 도전의 역사 속에 황우석 교수의 이름이 몇 번이나 새겨졌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지도가 완성되면 뇌가 어떻게 마음을 형성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뇌는 인간 이해의
종착역
뇌는 어떻게 조직화돼 있고 자극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까? 각각의 신경세포들은 정신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어떤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은 ‘인지신경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 ...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불가능이 없다는 기술의 진리를 새삼 깨달았다”고 말했다.모바일 튜너의 소형화는 이미
종착역
에 도달했다고 평가된다. 더이상 크기를 줄이는 일에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가장 큰 과제는 예상외로 안테나와 배터리다.가정에 있는 TV만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잘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복제된 또다른 자신을 보고 혼란에 빠지는 주인공‘아담 깁슨’에서부터 복제기술의
종착역
으로 영생을 꿈꾸는 악당‘마이클 드러커’까지 미래의 가상인물을 만나볼 수 있는 영화 속으로 들어가 보자.최첨단 디지털 문명이 넘쳐나고 복제 애완동물을 도처에서 볼 수 있는 그리 멀지 않은 미래. ... ...
2. 앤지오스태틴과 에도스태틴의 미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시간은 대략 10년. 5천-1만개의 후보물질에서 최종적으로 1개를 선발하는 지난한 과정의
종착역
이다. 동물과 다른 '약발'전임상시험 단계에서 선발된 20여개의 후보 물질은 왜 대부분 부적격으로 탈락되는 것일까. 실험동물과 사람의 생리는 그만큼 커다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우선 암세포의 특성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