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 위치 관측"(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포함시켰다. 사실 ngEHT가 처음 계획했던 동시 관측 주파수는 230GHz, 345GHz 두 개였다. 두 주파수를 ... 이목이 쏠렸다. 서울과 울산, 그리고 제주에 위치한 한국의 전파망원경으로 구성된 KVN은 오래 ... 효과를 볼 수 없었죠. 그래서 100GHz보다 낮고 천체 전파 관측에 사용되는 저주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중력으로 항상 서로의 짝을 찾는다. 두 개의 천체가 만나면 ‘쌍성’을 이룬다. 쌍성은 오랜 시간 ... 이것의 가장 유력한 후보는 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이다. 각 은하 중심부의 ... 우리 은하 안에 있는 펄사를 관측한다. 펄사 관측 신호를 보면 일정한 주기로 피크가 발생하는데,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합쳐서 ‘칠정산’이라고 칭함)이다. 역법은 천체 현상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하는 방법이다. 고려 ... 사용했는데, 문제가 많았다. 중국과 한반도의 위치가 다른 만큼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이나 낮밤의 ... 이즈음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간의 등의 천문 관측기기로 실제 관측을 수행하며 ‘대통력’ ... ...
- [Space Math] 지구 궤도 떠도는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 처리 기업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이점을 누리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저 높이와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 커다란 두 천체의 ‘중력 균형점’이라고도 불리는 라그랑주 ... 바라보고 있는 앞을 인공위성들이 지나가면서 관측 영상에 궤적을 남기는 것이다. 급기야 이런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위성의 태양 빛 반사를 획기적으로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비롯해 중국과학원, 대만 천문학및천체물리학연구소,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M87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2019년 국제 연구협력 프로젝트인 ... EHT)’ 연구팀이 처음으로 촬영했다. 이번 관측은 미국 9개, 유럽 6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국제 ...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메시에 마라톤은 이때 열린다. 밤새도록 천체를 관측하기 때문에 마라톤이란 별명이 붙었다 ... 양심에 맡기지만, 기상 조건이나 대회장의 위치 상 보이지 않는 메시에 천체가 있기 때문에 거짓으로 천체를 보았다고 기록하면 쉽게 들통난다. 내가 찾은 게 메시에 천체가 맞는지 헷갈리는 경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유령 은하의 심장이 감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걸 우리 은하가 해냈다! 우리 은하 중심에는 두 천체가 모두 있다). 가벼운 은하의 매력, 빛나는 심장 ... 부분과 중적외선으로 볼 때 가장 밝은 부분의 위치가 어긋나있었다! 그 차이는 거리로 따지면 무려 3 ... 달궈지면, 결국 이 성단의 위치에서 현재의 관측 결과처럼 적외선 빛이 유독 강하게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월 7일 오후 2시 49분, 강원도 강릉 사천면에 위치한 강원지방기상청 과학기구 자동 발사장의 돔 뚜껑이 열렸다. 기상 관측 기계인 라디오존데를 매단, 지름 2m 크기의 ... 있었다. 이후 풍선으로 할 수 있는 과학 임무가 천체 물리, 태양 물리, 지리 정보 등 훨씬 다양해졌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소행성을 발견했지요. 원래 소행성이 몰려 있는 위치는 카메라가 태양을 향해야 관측이 가능한데, 강한 태양빛에 광학장치가 고장 날 ... 750만 km 이내에서 돌며 지금 140m 이상의 대형 천체를 잠재적위험소행성(PHA)으로 분류해요.지금까지 인류가 파악한 잠재적위험소행성은 약 2000여 개이며, 그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히파르코스의 이름을 땄죠. 히파르코스 위성은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다 정밀한 별 지도를 그릴 목적으로 발사한 최초의 관측기기예요. 히파르코스 위성은 발사 후 100만 개 이상의 별의 거리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별의 특성을 파악하고 별의 구조와 진화 연구 등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