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과도한 열이 발생해 엔진 과열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과열을 피하려면 공기를
충분
히 감속시키지 못한 채 공기가 초음속으로 연소실에 흘러 들어오게 둬야한다. 즉, 초음속으로 흐르는 공기에 불을 붙여야 하는 것이다. 이렇듯 초음속 연소(SC嘄upersonic Combustion)를 응용한 램제트 엔진을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속에서 사과나무 이야기는 신이 숨겨놓은 법칙을 뉴턴이 발견했다는 인상을 풍기기에
충분
했다. 이렇게 사과나무 일화는 개인의 천재적 발상이 과학과 인류의 발전을 추동한다는 인식을 만들었다. 뉴턴의 사과나무 이야기가 스스로를 우상화한 꾸며낸 이야기라면, 그걸 믿는 것이 그렇게 나쁜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활성화될 때에 A-T 실험체 세포의 노화 속도가 줄었습니다. 하지만 안정성이 불
충분
해 이 촉진제의 인체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시르투인원을 활성화하는 NAD+의 전구체들은 영양제처럼 살 수 있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진 않았습니다. 시르투인원 촉진제와 보조효소 모두 노화 극복에 ... ...
엄청나게 작고 엄청나게 안전한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게 새로운 기술은 아니야. DNA는 지구에 생명체가 등장한 이후 수십억 년 동안 쭉 생물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물질이었거든. DNA ... 변형될 위험이 있는 전자 저장 장치와 달리, DNA는 별다른 연결 없이 상온에서 보관하면
충분
하기 때문에 에너지도 아낄 수 있답니다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싶다”고 말했어요.AI가 식물의 이름을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해선 각 식물마다
충분
한 양의 생태 이미지를 학습해야 합니다. 생태 이미지는 식물이 산이나 들판에서 발견된 모습 그대로를 촬영한 사진이에요. 현장 교육에 참가한 대원들이 남긴 387장의 사진이 생태 이미지에 해당하죠. 문현지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컴퓨터가 이해할 언어로 변환하는데 큰 노력을 해야하므로 AI가
충분
히 똑똑해질 만큼의
충분
한 데이터를 구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인 기하 정리들에 대한 수학 증명 데이터만을 넣어준 뒤, 기하학적 상황을 무작위로 생성해 그 문제를 풀도록 했다. 이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매미가 처음부터 17년 동안 살았던 것은 아니다. 매미는 땅속에서 일정 기간을 지내면서
충분
한 영양소를 섭취한 뒤 땅 위로 올라온다. 여기서 매미가 잘 성장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온도다. 그런데 혹독한 추위의 빙하기를 거치면서 매미는 더 오랜 기간 땅속에서 머물게 됐다. 6~9년만에 ... ...
[숫자로 보는 뉴스] 남극의 잠꾸러기 펭귄, 하루에 1만 번 잔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잔 것처럼 쉽게 기운을 차릴 수 있었지요. 사람은 펭귄과 달리, 깊은 잠이 들려면
충분
한 시간이 필요해요. 하루에 평균★시간 동안 잠을 자야 피곤한 몸과 정신이 회복되지요. 연구팀은 턱끈펭귄이 쪽잠을 자도 피곤하지 않도록 잠자는 시간이 점차 짧아지게 진화★한 것 같다고 말했어요. 용어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133여 척을 격퇴했던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해요. 해남 앞바다를 더 조사할 이유가
충분
한 셈이지요. Q. 특별히 기억에 남는 유물이 있나? 2010년 충남 태안 마도에서 발굴했던 마도2호선 안에서 청자 매병 2점을 발견했어요. 매병에 달린 대나무 조각인 죽찰에는 “개경의 도장교 오문부에게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N 까지만 하면 된다. N까지의 소수를 구하려면 √N 까지의 소수를 체에 거르기만 해도
충분
하다는 명제가 증명된 것이다.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한 기술로 쓰이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