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습니다. 2021년 9월, 미국 생명공학기업 컬라슬은 수천년 전 멸종한 매머드를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어요. 시베리아 툰드라 영구동토층에서 발견된 매머드 사체로부터 DNA를 분리한 다음 인공 자궁을 통해 복제를 시도한다는 계획이죠. 연구팀은 “매머드를 복원함으로써 시베리아 툰드라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오로라사우루스’라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스티브를 추적하기 시작했습니다. 시민과학자들이 찍은 사진과 위성 자료를 연구해 스티브가 어떻게, 왜 나타나는지를 연구했죠. 연구팀은 전하를 띠는 입자가 위도이상의 지역에서 지구 ...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세계 첫 민간 달 착륙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연계해 진행 중인,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1월 8일 애스트로보틱 테크놀로지가 개발한 ‘페레그린’과 이번 오디세우스까지 두 개의 달 착륙선이 지구를 떠났다. 페레그린은 연료 문제로 달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다. 오디세우스의 달 착륙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노력에 힘입어 지금에서야 빛을 보고 있다고 생각해요.” NASA에서 직접 초음속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김형진 교수는 X-59를 포함한 최근의 초음속기 연구에 관해 이 같은 소회를 밝혔다. 오래전부터 마련돼 있던 소음을 줄일 이론적 아이디어가, 1990년대 들어 전산 유체역학 ...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비행체 개발 프로젝트 중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항공기’ 형태를 채택한 몇 안되는 프로젝트다. 즉, SR-72의 성공은 극초음속 비행을 유지할 수 있는 스크램제트 엔진의 성공과 직결돼 있다. SR-72가 하늘을 날면, 진정한 의미의 극초음속 비행이 실현됐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 ...
- [특별기획] 펄사의 짝별 미스터리 천체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루고 있는 동반성(짝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미스터리 천체를 추적하는 과정과, SKA 프로젝트의 향후 계획을 알아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별기획] 펄사의 짝별 미스터리 천체의 정체는?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Bridge. 우주 여행자를 위한 쌍성계 가이드Part2. 1000개의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구축, 망원경 제작, 친환경에너지 공급 등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SKA 프로젝트에 함께하려고 한다. 또한 한국우주전파관측망과 세계의 망원경을 함께 사용해 이중 초대질량블랙홀이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의 영상을 얻어, 우주배경 중력파와 우주초기 초대질량블랙홀의 비밀을 푸는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십만 자리까지 계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국적 컴퓨터 기업 인텔에서는 GIMPS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펜티엄 II, 펜티엄 프로 칩을 출시하기 전에 테스트한 바 있다. 찾아야 하는 메르센 소수의 크기가 커서 계산량이 나날이 방대해지고 있다. 최근 발견된 메르센 소수 하나를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앞서 소개한 쌍둥이 소수가 수학계에서 가지는 무게는 가볍지 않다. 쌍둥이 소수는 무한하다는 내용의 ‘쌍둥이 소수 추측’이 정수론에서 유명한 미해결 난제기 때문이다. 작은 수에서는 쌍둥이 소수를 발견하기가 쉽지만, 수가 커질수록 발견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수학계에서는 이런 쌍둥이 소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 이 수의 특징이 눈에 보이는가? 첫 자릿수는 1, 그다음 0이 13개, 숫자 666,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다. 기독교에서 불운하다고 여기는 숫자인 666과 13이 모두 담겨있어 ‘악마의 소수’, 혹은 ‘벨페고르의 소수’로 불린다. 벨페고르는 기독교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