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주의
견해
의견
원리
설
론
d라이브러리
"
학설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낮아진다는
학설
이 있는가 하면, 침식된 만큼 다시 지각이 융기한다는
학설
도 있다. 이런
학설
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빗물이 어느 정도로 산을 침식시키는지 정량화한 데이터가 필요했다. 최근 영국 브리스톨대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강우량과 산을 타고 흐르는 물줄기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확실한 근거”라며 “조류가 아닌 공룡들은 육지에서만 생활했을 거라는 기존의
학설
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수각류 : 두 발로 걸으며,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으로 무장한 육식 공룡을 말한다 ... ...
유적의 연대를 파악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일본 역사에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한국인이 벼농사 기술을 일본에 전파했다는
학설
도 있어 우리나라에도 매우 중요한 시기죠. 과거에는 야요이 시대 유물로 많이 발견되던 중국제 거울의 기록으로 연대를 추정했는데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 널리 사용되면서 일본의 ... ...
새야, 박쥐야? 새로운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가지고 있어 새와 박쥐의 특징을 동시에 보유한 공룡 화석 ‘이(Yi qi)’가 발견되면서 이
학설
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왕 민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고환경연구센터 교수팀이 깃털과 날개막을 동시에 가진 새로운 종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8일자에 발표했다.중국 동북부 지역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시각도 섞여 있었어요. 그런데 전곡리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모비우스
학설
을 와르르 무너뜨린 거예요. 보웬의 발견이 고고학의 지형도를 바꾼 거지요.비슷한 일이 다른 곳에서도 더러 일어났답니다. 프랑스 라스코 동굴의 벽화도, 중국의 진시황릉도 우연히 발견되었어요. 라스코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8년)’나 영국의 존 뉴랜즈의 ‘옥타브 법칙(1864년)’ 등 원소의 주기성을 정리한 몇 가지
학설
이 있었지만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특히 옥타브 법칙의 경우 3주기부터는 규칙이 어긋나 당시 학계의 웃음거리가 됐다. 멘델레예프는 1869년 3월 6일 러시아화학회에서 ‘원소의 구성 체계에 대한 ... ...
[과학뉴스] 최초의 생명은 바로 지방?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여기서 자신의 염기서열을 스스로 복제하는 RNA 분자가 만들어지면서 생명이 시작됐다는
학설
이 인정받았다. 그런데 최근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생명체가 RNA가 아닌 지질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인 ‘로열 소사이어티 인터페이스’ 7월 2 ...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없다고 설명합니다.하지만 1911년 네덜란드 과학자인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이런
학설
을 처음으로 깨뜨립니다. 오너스는 자신이 가공한 액체헬륨을 이용해 절대영도(0K) 근처에서 물질의 저항을 측정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영하 약 268.8도(4.2K) 이하에서 수은의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진행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학계에서는 ‘세포 하나가 얼굴 하나를 구분한다’는
학설
을 가장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 세포가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다. 미국의 유명 시트콤 ‘프렌즈’에 출연하며 스타덤에 오른 할리우드 배우 제니퍼 애니스톤의 이름을 땄다. 2005년 6월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환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기저핵 주변 신경들은 기존
학설
대로 억제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곧 억제된 신경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흥분 상태가 됐고(반발성 흥분), 이를 억제하자 파킨슨병이 사라졌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를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법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