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자
장식판
d라이브러리
"
현판
"(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화재비상 3호 발령. 그러나 불길은 쉽게 잡히지 않았다.오후 11:10숭례문
현판
을 떼어 냈다.
현판
은 약간의 손상을 입었지만 무사히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2008년 2월 11일 오전 0:252층 누각 전체가 불길에 휩싸였다.오전 0:582층 누각 지붕이 무너져 내리기 시작했다.오전 1:502층 누각 전체와 1층 누각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공간에서 오래 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승효상 대표는 작업실에 걸려있는
현판
‘履露齋’를 잠시 바라보며 들릴듯 말듯 한마디를 흘린다.“건축의 운명은 이슬처럼 잠시 땅에 덧대는 것, 언젠가는 없어지는 것이지요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러플린 교수는 1996년 아·태이론물리센터
현판
식 때 처음 인연을 맺은 이래 수차례 한국을 방문해 이미 국내에 폭넓은 인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KAIST 총장 공모에 참여하게 된 것도 국내 인맥의 적극적인 권유와 유치활동 때문인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레몬산에 설치키로 결정한 것이다. 그리고 지난 2월 2일 레몬산무인천문대는 공식적인
현판
식을 거행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해발 2천7백76m에 위치한 레몬산천문대는 연중 관측 가능일 수가 2백50일 안팎이다. 특히 우기인 7월 중순에서 9월 초순까지를 제외하고 매달 20일 이상 관측이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보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적인 주도 기술로 이끌기 위해 탄생했다.2002년 12월 10일
현판
식을 갖고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돌입한 사업단은 앞으로 10년 동안 정부와 민간으로부터 총사업비 2천2백20억원을 지원받아 관련 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박희동 단장은 1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7일, 사업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단
현판
식 행사를 가졌다. 10년 뒤 우리의 기술로 발굴된 질환 단백질이 신약으로 개발돼 세계인의 질병을 고칠 날을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 ...
1. 첨단기술로 가는 다리 소재성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덕분이다.2조원 이상 수입 대체 효과차세대소재성형기술개발사업단은 지난해 11월
현판
식을 내걸며 과학기술부 산하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단으로 정식 발족했다. 76개 기관에서 7백여명의 연구원이 10년 간의 연구대장정에 들어간 사업단의 총연구비는 1천6백91억원. 2001년-2003년의 1단계에만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투자해 이같은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지난 3월 13일 과학기술부장관을 모시고
현판
식을 거행한 사업단은 신약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사업단을 운영함에 있어 유 단장은 연구원 간의‘커뮤니케이션’을 최고의 가치로 꼽는다. 신약개발 분야는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수적인 만큼, 동료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등 후천적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사장실 책상 뒤 벽에 걸린 ‘변화주도’(變化主導)란
현판
에서도 항상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인바이오넷의 도전정신을 읽을 수 있다.“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합니다. 생명공학 기술은 다른 분야와 달리 급진적 변화가 흔치 않기 때문에 보수적이기 쉽죠.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삶을 수 있는 온천수백두산 관광구역이 시작되는 매표소 앞이다. 대문 같은 일주문의
현판
에는 장백산(長白山)이라는 한문으로 된 큰 글씨가 써있다. 백두산의 절반은 중국에 귀속돼 있다. 중국인들은 백두산을 장백산이라고 부르는데, 백두산과 의미와 비슷한 산중의 왕이란 뜻이다. 입장료를 낸 후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