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혈구"(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술의 경쟁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번 평창 올림픽 기간에만 약 500~600개 가량의 적혈구생성촉진인자(EPO) 시료가 분석될 예정이다. EPO는 혈액 속 산소 운반 능력을 키워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도핑이다. 지구력을 요하는 종목에 분야를 가리지 않고 쓰인다. EPO 분석은 여러 개의 항체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방탄소년단 노래의 가사가 틀린 건 아니에요. 혈액을 구성하는 또 다른 성분인 백혈구에는 핵이 있거든요. 그러므로 DNA도 포함돼 있지요. 범죄현장에서 범인이 남긴 피로 범인을 잡을 수 있는 것도 혈액 속 DNA 덕분이에요. 과학자들은 1μL(100만분의 1L)의 피에서도 DNA를 추출해 범인을 알아낸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구성 성분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곤 해요. 바로 혈구와 혈장이지요.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뜻하고 혈장은 그 외의 나머지, 즉 물과 그 속에 녹아 있는 성분을 의미한답니다.혈장의 이런 특징은 한자어를 풀어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옛날 제사에서 짐승의 피를 받아두던 그릇을 본 딴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걸을 수 있었다. 연구팀이 혈액 샘플을 채취해 혈구 수치를 쟀더니,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숫자가 증가해 있었다. (열심히 훈련에 임한 도마뱀 선수들에겐 미안하지만) 도마뱀의 사지도 해부했다. 근섬유가 비대해져 있었다.단거리 선수들은 속도가 전혀 빨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역시 ... ...
- 스마트하게 크게 보자~! 스마트폰 현미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전달하는 신경세포, 피부를 구성하는 피부세포, 에너지를 저장하는 지방세포, 혈액 속의 혈구 등 200가지가 넘는 세포가 있단다. 그 수도 어마어마하게 많아서어른의 몸에는 50조에서 100조 개의 세포가 있어. 게다가 작은 세포만 있는 건 아니야. 엄청나게 큰 세포도 있단다. 타조 알 속의 난세포는 ... ...
- 상처, 이젠 더 빨리 낫게 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더 빨리 아물도록 하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거든요.피부에 상처가 나면 그 주변으로 혈구세포와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이 모여들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피부를 다시 만들어내려고 해요. 그 중에서 ‘윈트신호’는 섬유아세포를 상처난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콜라겐을 만들어 피부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같은 일이 실제로 가능할까.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혈구 보다 작은 로봇이 스스로 전기나 초음파 등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최 교수 는 지난 2013년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 크기 의 로봇을 개발했다. 크기만 놓고 보면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된 건 ‘포비돈’을 만나면서부터다. 합성 고분자화합물인 포비돈은 원래 혈장(혈액에서 혈구를 제외한 액체 성분) 대용액으로 개발됐다. 독일기업 IG파르벤인더스트리가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출혈이 심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인공혈장 용도로 만든 것이다. 1949년, 미국 산업독극물연구소 허만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있지만, AB형의 적혈구에는 A형에 있는 당분과 B형에 있는 당분이 모두 붙어있고, O형의 적혈구에는 아무 것도 없었단다. 또 A형 피에는 B형의 피와 만나면 반응하는 항체 베타가 들어 있고, 반대로 B형의 피에는 A형 피와 반응하는 항체 알파가 들어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어. O형은 두 항체가 모두 들어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목표였다. 연구팀은 먼저 갓 태어난 쥐의 비장에서 조혈모세포(백혈구, 적혈구 등 모든 혈구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채취했다. 갓 태어난 쥐를 이용한 이유는 아무래도 어린 세포가 나이든 세포보다 더 효율적으로 증식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 세포를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환경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