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가래
작은삽
괭이
d라이브러리
"
호미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하여간 조용할 날이 없다니까.’달포아저씨네 대장간은 저잣거리 가운데에 있다.
호미
, 낫, 쟁기 따위의 농기구나 사냥도구를 고치는 대장간은 늘 사람들로 북적거렸고, 그 때문에 조용할 날이 없었다. 장이 서는 날이면 더했다. 오늘도 대장간에선 사소한 시비가 벌어진게 분명했다. “아저씨,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꼬리가 없고 네 발로 걸었다. 긴팔원숭이와 유인원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이후 나타난
호미
노이드는 두 팔로 나뭇가지를 짚고 그네를 타듯 다녔다.고등 영장류애집토피테쿠스3200만 년 전 아프리카에 나타났다. 하등영장류에 비해 눈이 얼굴 앞을 향하고 있다. 손이 발달해 네 발로 걸었다. 낮에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백만달러(약 20억원)에 대한 승인이 나지 않아 백지화되기도 했다. 결국 이번 쓰나미는 ‘
호미
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뼈아픈 교훈을 남기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동물들을 통에 담느라 여념이 없다. 그런데 생각보다 수집된 양이 많지 않다. 저만치에서
호미
로 갯벌을 뒤엎고 있는 최종인씨가 보인다.“최 선생님, 뭐 하세요?”“갯벌이 영 시원찮아요. 예전엔 이 정도 파면 바지락이 10여개는 나왔을 텐데 겨우 1개뿐이네요.”이게 다 시화방조제 때문이라며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더 힘들고 더 조심스러운 작업이었다.실제 바다 속으로 들어가면 유물이 묻혀있는 뻘은
호미
질도 어려울 만큼 단단하다. 따라서 강한 바람을 쏴 개펄을 파헤친 뒤 다이버가 인양한다. 이 때 압축공기관이라는 특수장비를 사용한다. 일종의 수중 진공청소기다. 뻘층 탐사를 위해 탐지봉을 이용하기도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90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하는 영광을 안았다.멀리 뉴질랜드의 오지에서 감자를 캐다가
호미
를 내던지고 영국으로 내달려온 촌닭 러더퍼드는, 톰슨이 연구소로부터 반경 1마일 이내로 들어오지 않는다는 용감한(?) 조건을 제시하며 제4대 소장에 임명됐다. 그는 퇴임한 전직 소장의 간섭을 철저히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superfamily)인
호미
노이대(hominoidea, 일반으로
호미
노이드라고 부름)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호미
노이대는 인류과(hominidae)와 유인원과(pongidae)로 나누어진다(그림3). 그런데 문제는 발견되는 화석 영장류들이 유인원과에 속하지 않으므로 지금은 절멸된 독자적인 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기능을 수행할까? 쉽게 말해서 '그렇게 생겼기 때문'이다.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낫과
호미
는 각각 풀을 베고 김을 매는데 적합하도록 설계된 구조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자연은 아미노산의 개수와 조성 및 순서를 적절히 조절해 헤모글로빈과 펩신이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한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스케일링을 하면 새로 형성된 치석의 양도 적어지고 잇몸에 염증도 적게 발생한다.
호미
로 막을 일, 가래로 막아서는 안된다.8. 사랑니는 꼭 빼야 하나방치하면 입냄새·염증 생기고 어금니 상해성인의 치아 수는 사랑니 4개를 포함해 모두 32개다'사랑니' 는 사람이 사랑할 나이(약 20세)가 됐을 때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양을 객관적인 수치로 파악한다.이와 함께 비가 내릴 당시의 토지의 수분 함량을 감안해
호미
나 쟁기와 같은 농구(農具)를 이용한 강우량 측정법이 사용됐다. 가뭄이 심할 때 내린 비의 양과 장마 때 내린 비의 양이 절대적인 수치로 비슷할지라도 실제 농사에서의 의미는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