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살
d라이브러리
"
활
"(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오래된 시기인 2006년에 나온 세로쓰기 전용 서체다. 그는 “세로쓰기는 한국의 문자 생
활
에서 가로쓰기보다 훨씬 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며 “꽃길체를 보며 글꼴 디자인을 할 때 당장 필요한 것이나 앞으로 유용할 것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했던 문화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말했다. ○ 오션솔, 자연과 사람을 함께 구하다 아프리카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새
활
용해 자연과 사람 모두를 돕는 기업이 있다. 케냐의 사회적 기업 오션솔은 바닷가에 버려진 플립플롭 슬리퍼를 모아 다채로운 동물 조각품을 만든다. 플립플롭 조각품을 판매한 수익은 지역 아동을 위한 ... ...
음료,음료, 음료...이 중 어떤 음료수를 선택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알림’ 구글이 2019년 출시했다. 인공지능이 음 성을 인식해 글자로 보여준다. 키보드를
활
용한 양방향 소통도 가능하다. 80개 이상 의 언어를 지원하며 경보음 등도 자막화할 수 있다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님은 “부속품이나 우드락 같은 간단한 재료로도 가치 있는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메이킹
활
동은 위대하다”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과학동아 10월호작품명 : 아크릴 LED 싸인 시계마지막 MOM은 ‘아크릴 LED 싸인 시계’였습니다. 이 작품은 CNC(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 기계로 아크릴을 가공해 시계의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맛있는 스테이크를 굽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하나는 음의 높이를, 다른 하나는 음의 크기를 조절하지요.한편 톱은 바이올린
활
로 긁으면 톱이 진동을 하면서 소리를 내요. 톱을 구부리면 음의 높낮이를 바꿀 수 있고요. 이상한 악기들이지만 소리는 매력적이라고요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수 있답니다. ● 에필로그 “윌리엄 텔, 바람을 읽어내고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활
을 치우쳐 쏘세요!”꿀록 탐정이 윌리엄 텔의 어깨를 다독이며 말했어요.“고맙습니다. 꿀록 탐정님. 아들을 무사히 구해오겠습니다.”윌리엄 텔은 떨리는 목소리로 답한 뒤 서둘러 탐정 사무소를 빠져나갔어요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저장해 뒀다가 필요한 장기에 조금씩 보낼 수 있지. 그러면 심박수가 변해. 이를 통해
활
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야. 잠수할 때는 심박수를 1분에 2회까지 줄여 에너지를 최대한 적게 써. 크릴새우를 먹고 소화할 때는 에너지를 많이 쓰기 때문에 심박수가 분당 8회로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사실 우리는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어. 최근에는
활
을 쏘아 담수어를 잡는
활
낚시가 인기를 끌면서 내 친구들이 많이 죽었지. 규제가 전혀 없는 상태여서 연구팀은 “장수 물고기인 빅마우스 버팔로에 대한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단다. 용어정리*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 ... ...
지구 지킴이가 된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바꾼다는 점이에요. 작년 12월, 영국의 건축 회사인 ‘에코로직스튜디오’는 이 점을
활
용해 ‘조류 커튼’으로 건 물을 덮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답니다. 가로 2m, 세로 7m 크기의 커튼 16개를 설치해 하루에 약 1kg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했지요. 독일 함부르크에는 한쪽 면이 모두 조류가 들어 ... ...
[놀이보고서] 놀 시간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맘껏 놀았던 쥐는 어른이 되어 새로운 집단에 잘 적응했고 짝짓기와 먹이 지키기 등 사회
활
동도 잘 했어요. 펠리스 교수는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쥐의 뇌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맘껏 놀았던 쥐의 뇌에서 ‘내측전전두피질’이 발달한 것을 관찰했지요. 이는 쥐들이 친구들과 재밌게 놀기 위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