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휨"(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과학동아 l1996년 04호
- 구조물이 흔들리게 되며,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보 전단벽 가새 등이 축력 전단력 휨 모멘트 등의 형태로 지진의 영향을 받는다.내진설계(earthquake resistant design)란 앞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진에 대해 구조물이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이때 '안전'이라는 의미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오른쪽이면 오른쪽 날개의 것만으로 제조하는데, 이는 왼쪽과 오른쪽 각각의 깃털 살의 휨 방향이 달라 이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서다.깃털의 재질은 예전에는 육조구(陸鳥球)라 하여 닭털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요즘들어 경기에 사용되는 셔틀콕은 수조구(水鳥球), 즉 물오리털이나 거위털을 주로 ...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수많은 전자석이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 전자석이 바로 빛의 방향을 틀어주고(휨전자석) 전자빔이 흐트러지면 다시 집속시켜주며(4극전자석) 빔의 색수차와 상하좌우 진동을 교정해준다(6극전자석 등).한편 전자석 이외도 언듈레이터나 위글러라 불리는 특수한 삽입장치가 붙어 있는데, 이는 ...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입력하면 망원경은 대기의 굴절과 온도는 물론 별의 고도에 따른 망원경 튜브의 팽창과 휨까지 고려하여 1/1800° 이내로 그 별을 맞추어 준다. 이는 1km 떨어진 곳에서 맞추었을 때 오차가 1cm 보다도 작은 정도의 정밀도다. 또한 이 망원경에는 관측 중 목표 천체로부터 절대로 1/18000° 이상 멀어지지 ...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과학동아 l1991년 06호
- 교통수단의 발전과 더불어 토목 공학에 기초하여 체계화됐다. 각종 건축자재의 강도 휨정도 탄성 등 재료 특성을 연구하는 재료공학은 18세기 프랑스 공병학교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여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설립과 함께 크게 성장하게 된다.산업혁명 이후 기계제 대공업이 성장하고 화학, ...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90년 12호
- 및 밀도를 증가시키는 삽입장치(언듈레이터와 위글러)가 부착돼 있다.양전자 궤도의 휨자석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빔라인(beam line)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PLS는 애초 5백억~7백억원 예산으로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89년 초에 1.5GeV로 하느냐, 아니면 2.0GeV로 하느냐는 적정 규모에 대한 논의가 ... ...
- 탄력성있는 시멘트 개발에 열중과학동아 l1989년 07호
- 비교해 보면, 일반 시멘트가 15J/m²인데 비해 MDF는 1kgJ/m²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또 휨강도가 보통 시멘트보다 4~15배 커서 탄력이 있는 시멘트로 개발하기에 안성맞춤이다 ... ...
- 가속기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설계되어 있다. 현재 건설예산에는 4개의 빔 라인의 건설비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휨자석으로부터 2개, 위글러 삽입장치로부터 1개 그리고 언듈레이터로부터 1개이며 위글러 빔 라인에서는 1억분의 1c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강 X-선도 얻을 수 있으며 언듈레이터에서는 대체로 1mm에서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