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MAP"(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도 제작을 담당하는 로봇을 따로 두고, 그 로봇이 만들어 놓은 지도를 ‘맵 클라우드(map cloud)’라고 부르는 클라우드 컴퓨터에 저장해 여기서 어라운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 경로를 계산하도록 했다. 어라운드는 클라우드에 접속해 계산 결과에 따라 이동 방향을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자신은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iOS용으로 만든 애플리케이션 ‘ConcordeTSP’는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어준다. ‘Map Router’ 메뉴에서 포켓스탑 위치만 찍으면 된다. 다음 여행길엔 이 애플리케이션으로 포켓몬 순례길을 걸어보는 건 어떨까. 그런데 피카츄는 잡았냐고? 물론이지.△쿡 교수가 그린 포켓몬GO 순례길 ...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유사한 분류군을 찾는 데에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는 자기조직화 지도(SOM, Self-Organizing Map) 알고리즘을 이용했다.소설은 이 여섯 가지 감정선이 혼합된 상태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많이 다운로드된 이야기들의 공통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야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은 상승곡선, 하락곡선, ... ...
- 거울로 보면 ‘수학’과 ‘물리학’은 닮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수학 등 개별 분야의 이론들로 각각 설명해야 했지만, 김 교수가 발견한 쿼지맵(Quasi-map) 이론을 이용해 통합적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김 교수는 “아인슈타인이 위대한 이론물리학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수학이 이론적으로 뒷받침했기 때문”이라며, “현재는 물리학 이론들을 ... ...
- Facebook, for social lives과학동아 l2011년 02호
- what we’re trying to map out is all of those trust relationships, which you can call friendships.” He calls this map the social graph, and it’s a network of an entirely new kind.Faceboo ...
- 눈먼자들의 도시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비해 촉각과 미각도 매우 발달했다. 대뇌가 지배하는 신체 영역을 지형도(topographic map)로 그려보면 손이 차지하는 부위가 매우 넓다. 이는 손이 정교한 운동 능력과 감각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미각은 단맛, 신맛, 쓴맛, 짠맛의 4가지로 구분되는데 실제 느끼는 맛은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매우 ...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컴퓨팅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글 검색 엔진인 ‘맵리듀스’(Map-Reduece)를 보자. 맵리듀스는 분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100TB가 넘는 웹문서들에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핵심 기술은 수천 대의 컴퓨터에서 이뤄지는 분산 병렬 연산이다. 즉 구글 웹사이트에서 키워드를 치면 수천 ...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안착한다.동물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톡소플라스마는 고양이를 통해, MAP 박테리아는 우유에서 옮겨진다. 에이즈 바이러스나 사스 바이러스도 거슬러 올라가면 동물과의 접촉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동물에 의한 감염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 ...
- 기름으로 얼룩지는 바다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보호의 우선순위 결정과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민감지도(ESI Map, 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Map)도 있다.또한 국가적으로는 해상에서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방제기본전략이 있으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방제실행계획이 있다. ...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국제 공동연구가 기획·진행되고 있다.현재 국제일배체형지도프로젝트(International Haplotype Map Project)는 다양한 집단에서의 일배체형 변이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 민족을 대상으로 게놈 시료를 확보하는 중이다. 이 시료로 통해 밝혀지는 일배체형은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누구나 이용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