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oint"(으)로 총 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마찰력이 없다면 병을 차는 순간 병이 그대로 밀려서 쓰러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Point 3 병을 손으로 안 잡고도 성공하려면?병뚜껑을 여는 데 성공했다면, 이제 마지막 관문이 남았다. 병을 쓰러뜨리지 않아야 비로소 병뚜껑 챌린지에 완벽하게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망원경에 잡힌 소행성은 대부분 희미한 점으로 보일 뿐이다. 그래서 이를 점광원(point light source)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천문학은 ‘빛의 학문’이다. 별빛을 쪼개고 또 쪼개 그 숨은 비밀을 파헤치기 때문이다. 소행성의 경우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빛을 반사한다. 천문학자는 여기서 어떤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조종사와 항공 관계자들이 정해놓은 길을 따라 비행해. 이런 하늘길은 웨이포인트(Way Point)를 중심으로 만들어져요. 웨이포인트는 우리나라 전체를 기준으로 지역별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정한 특정 점이에요. 항공기가 주변의 관제탑과 수시로 교신하며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봉사활동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자발적으로 꾸준하게 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OINT 3 자신만의 봉사활동 기록 남겨두기봉사활동을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봉사활동을 하게 된 계기부터 그 활동에서 찾게 된 의미까지 간단한 메모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존하면서 4도 이하에서는 가벼운 구조의 물 분자가 늘어난다는 ‘LLCP(Liquid-Liquid Critical Point)’ 모델을 실험으로 입증한 것이다. 강 수석연구원은 “닐슨 교수팀은 미국과 일본에 있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모두 사용했지만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로 실험한 뒤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되고 있습니다. 과학동아가 뽑은 ‘과학스러운’ 관전 포인트 3가지를 소개합니다. [Point 1] 인피니티 스톤, 현실에도 있다 마블 10주년의 정점을 찍는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워’에서 마블 히어로들이 총출동하는 이유는 역대 최강 빌런(악당) 타노스(아래 사진)와 대결하기 위해서입니다.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교수 : 하하, 이건 좀 어려웠던 모양이네. 그럼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없나요? Check Point 5T세포는 가슴샘(Thymus)에서 성숙하기 때문에 T세포라하고, B세포는 골수(Bone marrow)에서 유래되므로 B세포라고 부른다. 따라서 가슴샘 발달이 억제된 경우, T세포의 성숙 및 분화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Deep Space Gateway)’로도 불린다. 미국은 2020년까지 달 궤도 상에 있는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라그랑주 점은 달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뤄 중력의 합이 0이 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어느 쪽으로도 당겨지지 않고 고정된다.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큰 변화뿐만 아니라, 그 변화를 대표할 만한 표준층서구역(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이 필요하다. 표준층서구역은 뚜렷한 변화가 기록된 퇴적층으로, 그 시대의 시작점이 된다. 예로, 중생대가 끝나고 신생대가 시작된 것은 공룡의 멸종과 포유류의 번성이 주된 이유지만, 그것만으론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잘 알 것이다. 멋지고 ‘짱짱쎈’ 필살기만 쓰면서 적을 물리칠 수는 없다.‘Magic Point(MP)’라는 게 있어서 기술을 쓸수록 MP가 줄어든다. 마구잡이로 쓰다가는, 정말 필살기가 필요할 때 쓰지 못할 수도 있다. 마치 모든 힘을 토끼에 쏟은 사자가 통통한 물소 떼를 넋 놓고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것처럼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