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쇼트
숏
d라이브러리
"
shot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속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등 6개국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마하 7.6의 최신형 초음속 제트엔진 ‘하이샷(Hy
Shot
) III’의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3월 30일에는 ‘하이샷 IV’ 역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극초음속기의 핵심은 ‘스크램제트’(Scramjet : Supersonic Combustion Ramjet) 엔진에 있다. 세계를 하나로 묶어줄 신기술,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인간게놈을 순서대로 일일이 해독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러나 벤터 박사는 ‘샷건’(
shot
gun)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해 게놈해독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간단히 말하면 전체 게놈을 조각내 개별 조각들을 해독한 다음 다시 이어붙이는 방법이다.사전을 예로 든다면 다국적팀은 첫장 A부터 ... ...
전자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two thousandth of the mass of a proton (or one million millionth of the mass of a speck of dust). When the electron is
shot
out of the muzzle of an electron gun it emerges with a particular vel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무력화시키고 다음에 창으로 뒷마무리를 한다는 의미에서 이 작전을 ‘쏘고 찌르기’(
shot
and pike) 작전이라고 부른다. 당시 사용된 진법은 1세기동안 유럽 전투에 많이 사용됐다.한편 16세기 중엽부터 대포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역할은 화승총과 비슷했다. 전투 초기에 적의 기세를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표면을 동정하거나 재료를 담금질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또 강철이나 주철로 된 총알(
shot
)을 고속으로 표면에 쏘아 다듬질 효과를 내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용접 부위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기계 사용중 발생하는 피로 파괴는 전적으로 균열이 기계 피로에 의해 얼마나 빨리 성장하느냐에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클라이맥스 부분에 해당한다.사실 이 장면은 불과 몇초만에 지나가 버리는 짧은 쇼트(
shot
)일 뿐이지만 촬영상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촬영기법을 시간경과촬영(time lapse photography)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촬영할 때 필름의 진행속도를 떨어뜨리거나 1초에 한 프레임(frame) 또는 1분에 한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만든 V3백신 프로그램을 비롯, 바이러스캔(스캔, Viruscan) 클린업(Clean-Up) 플루샷(Flu
shot
) 등 외국에서 수입된 10여종의 백신프로그램을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다.스캔과 클린업은 미국의 맥아피연합(Mac Afee Associates)에서 셰어웨어(Share ware)형태로 제공하는 백신프로그램으로 8백93종의 바이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first came to the attention of western naturalists when an explorer from the Polish province of the Russian Empire
shot
one in western Mongolia in the 1870s. He brought back the skin and bones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미 취득한 연구원들)에게 더 큰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위 Big
Shot
(유명인사)들 보다는 젊고 열성적이며 과학활동이 한창 절정기에 올라, 박사 과정의 학생들에게도 시간을 할애할 용의가 있는 교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고 생각한다.현재 필자가 몸담고있는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