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고도"(으)로 총 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와 함께 탐험하는 우주의 신비: 인공위성, 우리의 미래를 열다!기사 l20250713
- 지구 관측, 기상 예보, 통신 중계 등 인공위성은 현대 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공위성은 지구로부터의 고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각기 다른 역할과 특성을 가집니다. 인공위성은 음속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비행하며, 초당 약 7km를 이동합니다. 밤하늘에서 비행기보다 작지만 더 밝게 빛나는 위성을 볼 수 있 ...
- [우주기자단] 우주로 가는 꿈에 대해 배우다.기사 l20250712
- 기술을 뜻합니다. 왼쪽 아래 칸에는 로켓의 고도가 나옵니다. 즉 얼마나 높이 올라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도가 점점 높아지다가 500m 지점을 찍고 다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500m는 우주까지의 거리인 100km의 200분 1입니다. 아직 우주에 가려면 멀었습니다. 우리는 우주에 가겠다 ...
- 우주기자단,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중심, 항우연에 다녀오다!기사 l20250630
- 1차 발사때는 원하는 고도까지 가지 못해 실패했다고 합니다. 2차 발사는 2022년 6월 21일에 진행되었습니다. 위성은 발사되어 고도 550km의 궤도까지 도달했고 위성 투입에 성공했습니다. 제임스 웹 만원경 (미국 발사)는 JWST로도 불리며 2021년 12월 25일에 발사했습니다. 이 만원경은 전파만원경입니다. 그 ...
- 제주행 비행기 김포공항이나 김해공항이나 별 차이 안나는 이유는?기사 l20250629
- 않는다 비행기가 이륙해서 일정고도에 도달한뒤 곧바로 하강해서 착륙할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살짝에 속도나 고도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기사는 취제대행소 왱님의 영상을 참고했습니다 영상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youtu.be/1Cvho93cFeo?si=3vbLyhOjJ . ...
- [어과동 500호] 짐을 몇 분만에 뚝딱! 집 3D 프린터 계발 성공!기사 l20250619
-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홍수가 나거나 쓰나미가 밀려오면, 집이 집주인에게 알린 후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또, 태풍이 오면 유리가 초고도 강화유리로 변해 날라가지 않도록 합니다. 미리 예약 주문해 3D 프린터를 받아본 이 모씨는 "요즘 주택 가격만 해도 5억인데 이걸 받아보니 정말 좋네요! 미리 사길 잘한것 같네요. 제가 근처 동산에 허가를 ...
- NASA도 주목한 우주기업, 텔레픽스를 가다기사 l20250601
- 3월호에 나온 블루본을 아시나요? 바로 텔레픽스에서 자체개발한 세계 최초 블루카본 모니터링 위성입니다. 바다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전세계 해조류 서식 분포를 관측할 수 있는 위성으로, 위성시스템 부품부터 탑재 소프트웨어, 위성정보 분석 솔루션까지 텔레픽스가 자체 개발한 것이라고 합니다. 너무 멋지지않나요? (블루본에서 촬영된 예멘 사막지대 ...
- [우주기자단] 텔레픽스 함선정 이사님의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528
- 행성이나 위성이 항성이나 행성 주위를 공전할 때 가까이 있을수록 빨리 돌고 멀리 있을수록 천천히 돕니다. 저궤도는 500~1500km 정도의 고도이고 정지궤도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36000km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궤도에 있는 위성은 저궤도 위성보다 천천히 돌고 이 속도는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와 같습니다. 지구에서는 정지궤도의 위성이 항 ...
- 텔리픽스 견학 후기기사 l20250524
- 궤도라고 하셨습니다. 같이 돌기 때문에 정지된 것처럼 보인다고 합니다. 저궤도란 지구에서 꽤 가까운 인공위성의 궤도라고 합니다. 고도 2000km 가까이 위치한다고 합니다. 또한 BUS : 위성본체와, PAYLOAD : 탐제체를 알려주셨습니다. 해상도도 설명해주셨는데요, 사진이나 동영상의 선명함 정도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인공위성의 ...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저희 기자단이 가장 처음 소개받은 실제 크기의 3분의 1인 전시품입니다. 가장 최근에 개발 중이고, 이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고도 18km 이상인, 기온이 -70도 정도로 매우 추운 성층권에서 비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왜 인공위성 대신 이 무인기를 개발했을까요? 그 이유는 바로 성층권은 춥기 때문에 대기가 안정적이어서 바람이 불지 ...
-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502
- 합니다. 하지만! 202년도 7월에 아리랑 7호가 발사된다고 하니 이번에는 꼭 발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EAV-4 고도 18km 이상인 성층권에서 한달이상 떠날수 있기에 특정지역을 오랫동안 관측을 할 수 있어 재난 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기라고 합니다. 재난 감시를 할 수 있다는 이야기에 이번 큰 산불화재가 기억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