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고려대"(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억해야 하는 역사,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록관을 다녀와서기사 l20220424
- 시작했대요. (*군사쿠테타: 국민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군대의 무력을 이용하여 정권(政權)을 빼앗으려고 일으키는 정변) (출처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비상계엄령 : 국가 비상시 발동할 수 있는 국가긴급권의 하나) (출처 : 두산백과) 기록관에는 당시에 총을 맞아 돌아가신 분들의 사진을 찍어놓았는데 학생들도 보였어요. 우리 가족 ...
-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모기도 있다고? 광릉 숲모기에 대해서기사 l20210821
- 모기를 사육, 번식하는 기술은! 자랑스럽게도 우리나라에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지난 2017년에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과 고려대 연구진이 광릉모기의 사육 기술 개발에 성공해 모기방제에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 광릉 왕모기는 한반도 토종이랍니다. 크기는 1.5cm나 된다고 하니 보이면 풀어주세요~ ... ...
- #오세라_코미디 1화포스팅 l20200828
- 오세라:그걸 계산못하는 넌 어떻게 고려대를 나왔냐?최수정:...그러게오세라:에이 이 바보최수정:암튼 난 간드아오세라:( 속마음 ) 고려대생 아닌듯 쟤는 인서울도 못나왔을것 같은데외출나온게 맞는지 싶다 수정이가 한 3분은 잡아먹었다..오세라:외출 나왔는데..어디가지?오세라:아 백화점!오세라:택시가..오네?오세라:택시이이!!!택시 기사 ...
- 대형크리스마스 트리가 빛공해 라구요?기사 l20181223
-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도시를 밝히는 이 조명이 매일 같이 노출되는 사람들에겐 건강에 이상을 줄 수 있는 빛공해 입니다. 2017년 고려대 의과대학 이은일 교수는 야간조명에 심하게 노출된 지역에 사는 여성의 경우 유방암 발생률이 24.4%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밤사이 체내에서 이뤄지는 멜라토닌의 생성을 빛이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 ...
- 서울에 있는 서울대, 경희대를 다녀와서기사 l20181104
- 저는 양수호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어제 갖다 온 서울의 서울대, 경희대, 고려대에 대하여 기사를 써 보려고 합니다. 먼저 가 본 곳은 서울대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서울에 있는 대학교 하면 떠오르는 대학교가 서울대라고 하죠. 먼저 서울대 정문의 입구는 '샤'모양으로 된 웅장한 모양이 세워져 있습니다. 그리고 입구를 지나 서울대를 들어가면 ...
- [서울 성북 발자국] 꿀벌과밀원식물161026-1탐사기록 l20161026
- 서울 성북구고려대 안화단구름많음바람없음산국- 등에 ...
- 몽유도원도가 탄생한 배경과 그 가치기사 l20160702
- 하지만 일본은 돌려달라는 우리나라의 요청을 거절한 채 지난 2009년 일본의 국보로 지정했습니다. 그래서 현재 몽유도원도는 고려대박물관에 디지털 영상으로 복원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도 몽유도원도가 궁금해지지 않나요? ... ...
- [ 서울 성북구 발자국] 귀화식물 160514-1탐사기록 l20160514
- 서울 발자국1605141408서울고려대 화단맑음남실바람토끼풀 한화단의 10/1꽃이 피어있음 ...
- 물, 넌 누구니? 물의 현재 상태는 어떻고 물을 어떻게 아껴야 할까요?기사 l20151028
- 열리는 2015 UN청소년 환경 총회 워크숍에 갔었습니다. 가서는 지속 가능한 물 사용에 대한 강연을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고려대 세종캠퍼스 부총장 최승일 교수님에게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 물이란 무엇일까요? 물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없으면 어려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주 탐사로봇이 제일 먼저 찾 ...
- 50년 후 로봇도 세금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예상됐다. 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3명 발표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제6회‘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수상자로 박정희 고려대 교수, 안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노정혜 서울대 교수를 선정했다. 박 교수는 나노 튜브와 나노 입자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구조물을 이용해 센서와 전기소자,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안 연구원은 이산화탄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