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그래프"(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우주과학을 생각하다.기사 l20240625
- 니켈, 실리콘 등) >> 실제로 달에 나가있는 장비랑 똑같은 연구용 장비를 실험실에 가서 보았는데, 실시간으로 원소 분석 그래프가 나오는게 정말 신기했어요. >> 이 감마선 분광기를 통해서 '달의 원소지도'를 만들어요. 3. 지구뿐만 아니라 달까지, 그리고 우주까지.. 우수한 과학기술을 널리널리 펼치기를! - 우주 ...
- 노트필기법+시험기간에 뭘해야 할까요?포스팅 l20231225
- 확인하고 그 부분 외우세요 4. 과학-필기법내나 사회랑 비슷합니다. 풀어져서 정의된 걸 노트에 옮겨 정리하는 거임.그리고 그림or그래프 같은 거 그릴 일이 있을 텐데(원자라던가 그런거) 이런거 공들여서 그리지 마세요. 그냥 어떤 과목이든 그림 그리는 건 나만 알아보면 됩니다 제발 공들여서 그리지 마세요.. 그냥 이거 저거 확실하게 구분되게 그리 ...
- 이차함수 들어갔는데포스팅 l20231107
- 헐 뭐예요 재미있음…. 인수분해는 귀찮고 이차방정식은 맨처음에 근의 공식 외우면 괜찮았는데 이차함수 재미있어요.그 그래프가 곡선이여서 컬러로 나타내면 예쁠 듯 합니다.근데 중3-2 어렵나요? 올해 수학 쌤이 중3-2 끝내고 내년에 고등수학 들어가라는데 ...
- 감기는 에어컨 때문에 걸릴까?기사 l20230819
- 23'C 어때요? 차이가 보이나요? 6도만 내려도 차이가 6도C 정도나 차이가 납니다. 다음은 좀더 편하게 그래프를 볼 수 있도록 원형 그래프를 만들었습니다. 잘 보면 남색은 18도 짙은파랑색은 19도 파랑색은 21도 옅은파랑색은 24도 주황색은 25도 진한주황색(빨간색)은 26도 짙은빨간색은 27도입니다. 마지막으로 냉 ...
- 현장교육을 다녀오다.기사 l20230729
- 건 어떨까요? 밤 8시가 되니 어둑해졌고 를 시작했습니다. 청계천을 따라 에코 미터에 감지되는 초음파 그래프를 보며 박쥐를 찾으러 다녔는데요. 박쥐를 두 마리나 봤습니다! "박쥐다!" 하고 소리치면 (물론 작은 소리로 말했습니다.)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다가 너무 빨라서 사진에 잡히질 않았습니다. 그래서 동영상으로 찍은 ...
- 우리가 잘못 알고 있던 유사과학 2가지!기사 l20230507
- 것을 발견했습니다.하지만 그 차이는 아주 미미했습니다. 그러다가 보링이라는 어떤 사람이 이 개념에 흥미를 느껴, 헤니히의 실험을 그래프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보링은 이 것을 과장시킵니다. 이 과장된 지도는 많은 나라의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 교과서에 실립니다. 이 것은 1973년에 버지니아 콜링스라는 사람이 헤니히와 같은 실험을 하여 뒤 ...
- 분모에도 0이 들어갈 수 있다.기사 l20230424
- 극한의 특성상 x는 0이 되지 않고 무한히 0에 가까워지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그래프로 도출한다면 0에 무한히 가까워지는 반비례 그래프가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분모가 무한소가 되어 0에 매우 가까워지지만 0이 되진 않으므로 분모가 0이 된다는 방법이라고 칭하긴 어렵습니다. 2번째 방법은 엡실론-델타 논법을 활용하는 것 ...
- NO키즈존,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기사 l20221104
- 기획조사, 이동한, 노키즈존, 노키즈존찬반, 노키즈존찬성이유, 노키즈존반대이유, 노키즈존여론, 노키즈존인지도 그래프에서는 노키즈존을 통해 매장 환경,분위기 개선이 가능하다에 찬성 74% 반대 23%, 노키즈존을 통해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에 찬성 68% 반대 27% 노키즈존은 어린이를 동반한 손님에 대한 차별이다 찬성에 31% ...
- PPT 잘 만드는 법기사 l20221006
- 있고, 또는 윤곽선이나 입체 효과를 넣을 수 있습니다. 3. 도표를 활용하기 글과 이미지만으로 부족하다고 느끼신다면 표와 그래프를 삽입해보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PPT 내부의 '삽입' 탭에 들어가면 기본적인 도표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4. 애니메이션 효과를 활용하기 PPT 내부에는 '애니메이션' 탭이 있는데요, 이 ...
- 스피노사우루스의 대한 거의 모든 것 ꧁༺합본༻꧂기사 l20220924
- 관련이 있는 수백개의 표본을 검토했다고 한다 다시 말해 자신들의 계산에 의하면 논문에 실린 복원이 타당하고, 향후 출판된 모노그래프(단행본 형태로 쓴 논문)를 보면 미심쩍었던 부분이 다 해소될 것이라는 말이다. 고생물학자 마크 위든은 독립적으로 골반과 다리 크기를 재조정한 결과 스콧 하트만의 추정치와 비슷한 값이 나왔지만, 이후 논문 저자들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