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신하"(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덕이 없는 조선 최악의 폭군! 연산군!기사 l20240204
- 오랫동안 살아 온 마을 사람들을 내쫓는다는 게 이해가 되나요? 연산군의 유배지, 강화 교동 연산군이 아무리 큰 죄를 지었지만, 신하들은 왕이었던 사람은 차마 죽일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왕자의 신분으로 강등시키고 강화 교동으로 유배를 보냈어요. 강화도는 왕족들의 유배지로 유명해요. 고려가 망한 후 많은 왕씨들이 강화도로 쫓겨 갔었고, 조선 시 ...
- 빠꾸 먹은 아이 공개.포스팅 l20231204
- 권력을 요구하였나요 그저 하찮은 요한의 머리 하나딱 그 머리 하나가그저 작은 내 소원이예요 아버지는 로마의 황제이미 다른 신하들 앞에서맹세하신 그 말 아버지의 명예를 위해서지켜줘요다른 귀족들의 신임이필요하지 않나요? 넘버9 끝. 조명은 헤로데 안티파스를 집중시킨다. 백색 조명. 헤로데 안티파스의 방백이 이어진다. 음악#10 : 그림자는 햇살이 ...
- 세종 대왕이 집현전 신하에게 초콜렛을 주며 한 말은?포스팅 l20231020
- '가 나 다' ...
- [HIS토리] 조선시대: 왕자의 난과 태종의 왕권 강화기사 l20231011
- 경복궁 근정전은 왕의 즉위식을 열거나 외국의 사신을 맞이하는 등 나라의 중요한 행사를 치르던 곳이에요. 그리고 사정전은 왕이 신하들과 함께 정책을 의논하거나 공부를 하던 곳이죠. 또, 강녕전은 왕이 휴식을 취하고 잠을 자던 곳으로, '강녕'은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한하다는 뜻이에요. 정도전은 조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명한 재상들이 나서서 ...
- [HIS토리] 조선시대: 조선의 건국기사 l20231010
- 귀양 보내졌다가 6개월 뒤 결국 처형당했죠. 우왕이 쫓겨난 뒤, 아들 창왕이 9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어요. 우왕을 따르는 신하는 이성계를 제거하고자 했지만, 그들의 음모는 사전에 발각되고 말았죠. 이성계는 우왕과 창왕이 진짜 왕씨가 아니라면서 이들을 멀리 귀양 보냈어요. 1389년, 제20대 왕 신종의 7세손인 공양왕이 왕위에 올랐죠. ...
- 목인 박물관에 다녀와서.기사 l20230809
- 쓰고 있습니다. 손에는 상아홀/목홀을 들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홀이라고 합니다. 잠시 이 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신하들이 임금님께 말씀드려야 할 것이 너무 많았습니다. 근데 이 모든 것을 잊어버리면 안됩니다. 잊어먹지 않기 위해서는 메모지처럼 이 모든 것을 메모할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이 홀을 생각해낸 것입니다. 나중에는 ...
-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726
- 있습니다." 세종이 물었어요"잠들었느냐?""아직 깨어 있습니다."그리고 잠시 뒤 불이 꺼지고 세종이 다시 물었어요."이제 잠들었느냐?"신하가 갔다온 뒤 말했어요."네,잠들었습니다."세종이 곤룡포를 벗으며 말했어요."가서 덮어주고 오너라."다음 날 아침 신숙주는 곤룡포를 보고 세종의 마음에 감동했답니다.훈민정음에는 한글의 소리,문법과 같은 것 ...
- 도토리는 왜 도토리일까?기사 l20230703
- 그때 먹은 토리가 먹고 싶었습니다."이렇게 많은 음식이 있어도 다 입맛에 안 맞구나.여봐라 상수라를 들여오너라.그래서 한 궁녀가 신하에게 조용히 물었습니다."상수라가 뭐예요?" "왜 그 토리 있잖아."그래서 토리를 가져와 먹었더니 떫기만 하고 맛있지 않았습니다."아니 왜 이렇게 맛이 없느냐?도로 토리라고 하여라!"인조가 말했습니다. 세월이 흐르 ...
- 이건 또 뭔 지나가던 개가 웃을 소리지포스팅 l20230124
- 인정하고 있는데, 일본을 경계하면서도 동시에 일본의 도움을 필요로 했던 게 조선 왕실이었고, 그래서 을사조약에 반대하는 신하들의 주장을 물리치고, 스스로 을사조약을 수용한 겁니다.이토 히로부미가 죽었을 때 가장 슬퍼했던 게 고종,순종과 황태자 이은이에요.이토는 황태자 이은의 스승이기도 했죠. 고종이 간청해서 그리 된거에요.이토와 일본 입장에서 ...
- 역사왜곡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포스팅 l20221230
- 2. 이미지? 여기서 왕이 체통을 지키지 않자, 신하가"전하... 이미지 관리...."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애초에 조선시대 때 신하가 왕에게 "이미지"라는 단어를 쓰는 게 맞을까요?조선시대에는 영단어가 없었는데도요. 3. 제주도로 휴가 왕이 쓰러져 어의를 찾는 장면입니다.우선, 조선시대 땐 제주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았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