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쪽' 여야의정협의체 좌초 위기…1일 의료계 단체 참여 마지막 회의?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것으로 보인다. 대한의학회는 지난달 29일 임원회의를 거쳐 협의체 참여 중단 쪽으로
가닥
을 잡았고, 의대협회도 같은 날 참여 지속 여부를 논의한 뒤 이날 회의에 참석하는 이종태 의대협회 이사장에게 결정을 위임하기로 했다. 국민에게 '성탄 선물'을 약속했던 여야의정 협의체가 존폐 기로에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분석할 때 '롱리드 시퀀싱' 기술을 이용했다. 롱리드 시퀀싱은 한번에 긴 길이의 유전자
가닥
의 서열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AMY1 근처 부위의 유전자 서열은 거의 동일해 기존의 숏리드 시퀀싱 기술으로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롱리드 시퀀싱으로 더 복잡한 유전자를 ... ...
수도권 전공의 내년 정원 안줄인다…복귀 유도 위한 정부의 '고육지책'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5대 5로 바꿀 계획이었지만 수도권 정원을 줄이지 않고 현행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
을 잡았다. 전공의들이 선호하는 수도권 수련병원의 정원을 유지해야 조금이라도 더 많은 복귀를 끌어낼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전공의들이 돌아올 자리가 줄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의료계의 요구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이 쉽게 부러지는 이유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서로 연결된 이미지를 실었다. 두 개의 세포벽은 작은
가닥
들로 연결됐다. 이 작은
가닥
들은 세포소기관중 하나인 소포체다. 소포체는 세포의 핵을 감싸는 핵막이 연장돼 그물모양으로 생성된 구조다. 앞서 소포체가 식물의 세포들을 연결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소포체가 어떻게 형성되고 ... ...
DNA 종이접기 기술,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10.26
만들 때 재료물질이 가진 특성이 물체의 모양을 좌지우지하는 것처럼 재료가 되는 DNA
가닥
이 얼마나 잘 구부려지는지, 전기적 반발력은 얼마나 되는지 등의 특성을 측정하면 DNA 나노 구조체의 형태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하는 DNA 나노 구조체를 정밀하게 ... ...
'생존왕' 물곰, 방사선 노출 이겨내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TRID1'이라는 유전자는 방사선으로 손상된 부위에 특수 단백질을 모아 끊어진 DNA 이중
가닥
단절을 복구하는 데 관여했다. 연구팀은 "아무도 연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전자"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물곰 유전자의 0.5~3.1%는 다른 생물체로부터 얻은 것이라고 추정했다. 박테리아에서 획득한 것으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RNA가 mRNA를 분해하는 기작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주로 세포 외부로부터 도입된 이중
가닥
RNA는 세포 내에서 효소에 의해 22 뉴클레오타이드(nt, RNA의 길이 단위) 길이의 짧은 분자로 가공되며 이 짧은 분자를 siRNA(small interfering RNA)라고 한다. siRNA는 자신과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와 22nt의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원리를 알아야 한다. 단백질은 20종의 아미노산이 구슬 꿰듯 줄지어 연결돼 만들어진 한
가닥
의 폴리펩타이드로부터 시작한다. 폴리펩타이드는 아미노산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2차, 3차구조를 형성하며 접힌다. 구글 딥마인드는 아미노산 간의 상호작용을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도 단백질의 입체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센서 등으로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을 잇달아 만들었다. 단백질의 기능은 아미노산이 긴
가닥
으로 연결되고 접힌 3차원 구조가 좌우한다. 1970년대부터과학자들은 아미노산 서열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려고 했지만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2020년 알파폴드2라는 AI 모델을 발표해 ... ...
[노벨상 2024] 암·신경질환 열쇠 'miRNA' 발견 앰브로스·러브컨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게리 러브컨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위키미디어 제공.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단일
가닥
염기 20여 개로 이뤄진 ‘마이크로 RNA(microRNA)’를 발견한 빅터 앰브로스 미국 메사추세츠 의대 교수(71세)와 게리 러브컨 하버드대 의대 교수(72)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