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산
채굴갱
채광소
광업소
뉴스
"
갱도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제공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5월 12일 외무성 공보를 통해 23~25일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를 폭파하겠다고 밝혔다. 핵실험장 폐기로 비핵화 조치의 첫 발을 뗀 셈이다. 하지만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이뤄내려면 앞으로 밟아야 할 과정이 더 많다. 핵시설 가동을 ... ...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궁금증...과학이 답할 수 있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하지만 이미 핵폭발이 끝난 뒤 남아있는 방사성 물질은 기체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갱도
를 폭발시킨다고 밖으로 새나오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은 토양에 잘 흡착합니다. 문제는 지하수입니다. 만약 풍계리 핵실험장의 아래 지하수가 존재한다면 빗물에 의해 흘러간 방사성 ... ...
“北 핵실험으로 풍계리에 지름 100m 싱크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7.10.27
이는 광산이 붕괴했을 때 나오는 파형과 유사하다. 핵실험의 여파로 풍계리 핵 실험장
갱도
일부에 지름이 60~100m에 이르는 거대 동공이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핵실험으로 인해 풍계리 지역엔 최대 지반가속도 0.29g의 진동이 나타났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발표자로 나선 홍태경 ... ...
北핵실험 증거 ‘방사성 기체’ 검출, 찾을 수 있을까
2017.09.08
2차 지진의 진원지는 6차 핵실험 장소에서 900m가량 떨어져 있다. 지하가 거미줄 같은
갱도
로 이어져 있는 곳이라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큰 셈이다. 그러나 기상청이 관측한 2차 지진 장소는 핵실험 장소에서 7km나 떨어져 있어 방사능 유출 가능성이 낮다. 김 교수는 “핵실험 여파로 주변 터널 ... ...
함몰지진? 암반파열? 늘어나는 북핵 2차 지진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암반파열(rock burst)’또는 작은 여진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암반파열은
갱도
건설 등 인공적인 힘이 가해진 지하에서 바위가 일시에 터지듯 움직이며 쌓인 힘을 배출하는 현상이다. 지구조 응력배출과 언뜻 비슷하지만, 주로 인공물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는 점이 다르다. ... ...
[북핵 팩트체크 – 남은 의문들(1)] “의문의 2차 지진파… 방사성 기체 포집 가능성 높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900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다”며 “만약 같은
갱도
라면 유출 가능성도 있지만, 다른
갱도
라면 검출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Q2 - 국내는 핵실험 규모를 일부러 작게 발표한다?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고 할 때마다 할 때마다 지겹게 되풀이되는 이야기다. 왜 세계적인 지진관측망을 ... ...
기상청 “지진 규모 5.7”… 충격흡수 기술 감안땐 위력 더 클듯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은 암반이 단단한 화강암 지대인 데다 북한이 핵실험장
갱도
내에 9중 차단문을 설치하는 등 충격 흡수 기술을 고도화시키고 있는 사실을 감안하면 실제 위력은 훨씬 클 수 있다는 것이다. 지하 실험실 근처에 인공동굴을 파두면 자동차 배기파이프처럼 ‘머플러 ... ...
깊은 땅 속 광물 탐사, 소프트웨어로 더 쉬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5
원형은 물론, 아치형 등의 모양으로 재현할 수 있어 실제 지하
갱도
와 가장 유사한 모양으로 3D 설계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유 대표가 이끄는 코탐은 올해나 내년쯤 몽골에서 수행할 자원탐사 또는 몽골 광해방지사업에 케이모드스튜디오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 ...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움직임 포착…핵실험 임박했나
포커스뉴스
l
2016.04.14
사이트 38노스는 풍계리 실험장의 "3월 위성사진을 보면 지난 1월 핵실험을 진행한 북쪽
갱도
에서 활발한 움직임과 더불어 물을 빼내는 작업을 한 흔적이 보인다"며 추가 핵실험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 포커스뉴스 제공 ◆증거 1. 갑자기 나타난 차량 지난 9일자 위성사진을 보면 ... ...
목표는 ‘수소폭탄 ICBM 탑재’… 핵강국 시나리오 드러내
동아일보
l
2016.01.07
퍼진 미량의 방사성물질을 탐지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북한이 1차 핵실험 이후 지하
갱도
를 대폭 보강해 방사성물질의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 3차 핵실험 직후엔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